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 )

목차
관련 정보
함남 함흥 황초령 신라진흥왕순수비 및 사적비
함남 함흥 황초령 신라진흥왕순수비 및 사적비
고대사
유적
북한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함흥역사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신라의 진흥왕이 건립한 순수비.
이칭
이칭
황초령비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함흥역사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신라의 진흥왕이 건립한 순수비.
개설

진흥왕순수비는 이 외에도 북한산비(北漢山碑) · 창녕비(昌寧碑) · 마운령비(磨雲嶺碑) 등이 있다. 이 비는 진흥왕순수비 가운데 가장 먼저 알려졌으며, 19세기 초 김정희(金正喜)가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내용

위 부분과 왼쪽 아래 부분이 일부 마멸되었는데(광복 후 마멸된 부분이 발견되었다고 함), 현재 남아 있는 비는 높이 92.4㎝, 너비 45㎝, 두께 20㎝이다. 비문은 모두 12행이고 행마다 35자가 해서체(楷書體)로 새겨져 있다. 내용은 같은 시기에 세워진 마운령비와 거의 일치하는데, 유교적인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지향하려는 의지가 잘 나타나 있다.

그 밖에 역수(曆數)의 관념을 비롯해 건호(建號) · 짐(朕) · 순수(巡狩) 등의 용어를 사용한 것에서 제왕(帝王)으로서의 자부심이 나타나 있다. 또한 진흥왕의 변경 지역 순수에 수행된 신료(臣僚)들의 이름과 관등 · 관직은 신라의 정치 제도와 인물 연구에 많은 참고가 되고 있다.

이 비는 현재의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진흥리에서 발견되었는데, 1852년(철종 3)에 당시 함경도관찰사 윤정현(尹定鉉)이 비를 보호하기 위해 황초령 정상의 원 위치에서 고개 남쪽인 중령진(中嶺鎭) 부근, 즉 하기천면 진흥리로 옮겨 비각(碑閣)을 세운 것이다. 현재는 북한의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학자들은 이 비와 마운령비가 실제로 신라의 동북 경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즉, 신라 때의 동북 경계를 안변의 남대천(南大川) 유역으로 보고, 어쩌면 황초령비는 그 부근인 철령쯤에 세웠을 터인데 고려 예종 때 윤관(尹瓘)이 함흥평야의 여진족을 정복한 뒤 9성(城)을 쌓을 때 그 점령을 역사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철령에 있던 비석을 함흥평야의 북쪽 경계 요충지에 해당하는 황초령으로 옮겼다고 주장하였다.

또 고려 고종 때의 승려인 천인(天因)이 지은 「고석정기(孤石亭記)」에 진흥왕의 한 비석이 철원 남쪽 30리쯤 되는 고석정 부근에 있다고 한 기록을 들어, 황초령비는 바로 고석정에 있던 비석을 조선 초기에 옮겨 놓은 것이라고도 주장하였다. 이처럼 황초령비와 마운령비는 위치 문제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처음부터 황초령에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은 듯하다.

참고문헌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노용필, 일주각, 1996)
『한국금석문추보』(이난영 편, 아세아문화사, 1969)
『진흥이비고』(김정희, 『완당선생전집』 1, 1934)
「新羅眞興王の在來三碑と新出現の磨雲嶺碑」(최남선, 『靑丘學叢』 2, 1930)|『육당최남선전집(六堂崔南善全集)』 2(최남선, 1973)
「眞興王の戊子巡境碑と新羅の東北境」(池內宏, 『古蹟調査特別報告』 6, 1929)|『滿鮮史硏究』 上世 2(池內宏, 吉川弘文館,, 1960)
「新羅眞興王巡狩管境碑考」(今西龍, 『考古學雜誌』 12-1, 1921)|『新羅史硏究』(今西龍, 近澤書店, 1933)
「眞興王碑について」(前間恭作, 『東洋學報』 19-2, 1931)
집필자
이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