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창은 조선 후기의 가장 대표적인 창으로 죽장창(竹長槍)이라고도 하며, 단병전에서 있어서 가장 주된 공격 수단이다. 십팔기(十八技) 또는 이십사반 무예(二十四般武藝) 가운데 군사들이 죽창을 가지고 하던 무예를 뜻하기도 한다.
조선 정조 이전까지는 대나무로 만든 죽창이나 나무로 만든 목장창의 기예를 모두 구분없이 장창이라고 부르다가 정조 2년에 대나무로 만든 것은 죽장창으로 구분하여 부르기 시작했다.
임진왜란때 단병무기의 중요성을 실감한 조선은 실전에서 위력을 보였던 명나라의 낭선기창旗槍장창당파죽창단병무기 등을 도입되어 조선의 실정에 맞도록 개량했고, 병사들의 창술 훈련도 체계화하여 무기체계에 변화를 꾀하였다. 임진왜란 직후인 1594년(선조 27)에 장창(長槍)ㆍ당파(鏜鈀)ㆍ낭선(狼筅)ㆍ쌍수도(雙手刀)ㆍ등패(藤牌)ㆍ곤봉(棍棒) 등이 함께 도입된 이후 점차 발전되어 1749년(영조 25)에 죽장창(竹長槍)ㆍ기창(旗槍)ㆍ예도(銳刀)ㆍ왜검(倭劍)ㆍ교전(交戰)ㆍ제독검(提督劍)ㆍ본국검(本國劍)ㆍ쌍검(雙劍)ㆍ월도(月刀)ㆍ협도(挾刀)ㆍ권법(拳法)ㆍ편곤(鞭棍) 등 12기를 합하여 무예 18기로 정립되었다. 이후 1790년(정조 14)에 만들어진『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는 기존의 무예 18기에 마상월도(馬上月刀)ㆍ마상편곤(馬上鞭棍)ㆍ마상곤봉(馬上棍棒)ㆍ격구(擊毬)ㆍ마상재(馬上才)ㆍ마상쌍검(馬上雙劍) 등 6기를 추가하여 무예 이십사반으로 완성되었다. 『만기요람』에 나오는 죽절장창ㆍ죽절중창도 모두 죽창의 일종이다.
『무예도보통지』에 소개된 죽창은 자루의 전체 길이가 20척, 손잡이 부분의 길이는 5척,이다. 창날은 형태도 단순할 뿐만아니라 길이도 4촌에 불과하다. 죽창의 자루에는 손잡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흰색과 검은색을 번갈아 칠했다.
죽창은 통대나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비용도 적게 들어 많은 병사들을 장비하는데 용이하였다.
죽장창은 길이가 4m 이상이기 때문에 진의 전열에서 기병의 공격을 저지하거나 적 보병의 방패 사이를 공격하는데 사용했다. 조선후기의 죽창은 대부분 대나무로 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