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교하 두레풍물 ( 두레)

국악
작품
경기도 파주시 교하면에서 전승되는 농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파주시 교하면에서 전승되는 농악.
구성 및 형식

파주교하풍물은 지리적으로 삼각지에 위치해 있어 토양이 기름지고 풍부하여 농경문화가 발달된 파주 교하 지역에서 발전한 풍물이다. 교하두레풍물의 기본적인 앞 치배는 두레기, 영기, 태평소, 꽹과리, 제금, 징, 북, 장구, 소고 등의 순서로 다른 지역과 달리 태평소와 제금이 치배로 구성되며 다음에 제금이 들어가고 북치배가 장구 치배보다 앞에 위치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뒷 치배의 구성은 지신밟기, 모내기, 김매기 등 거리에 따라 약간 식의 차이가 있으며, 두레장, 호미 든 농부, 낫 든 농부, 삽 든 농부, 소를 모는 농부, 못짐 지게를 진 농부 등의 잡색으로 구성된다.이 풍물은 두레굿 중심으로 구성되어 깃발굿, 진풀이, 원진, 일자진, 농사풀이 등의 순서로 구성된다.

내용

파주시 교하면에서는 예전부터 농사일을 하면서 두레풍물을 쳤다고 한다. 또한 정월 초하루에는 교하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삼학산 정상에서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거행했는데, 제의 양식에 따라 굿패라는 풍물잽이들이 축제나 다름 없는 가무사제 형식의 마을굿과 제관의 독축과 고사를 올렸다. 정월대보름에 지신밟기와 쥐불놀이를 거행하기도 했다. 가락의 흐름은 정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상황이나 치배들의 수준에 맞추어 상쇠의 의도대로 흘러간다고 볼 수 있는데, 산신제와 지신밟기에서는 주로 일체→자진 이채→사채→길굿(굿거리)→삼채→이채 순으로, 두레풍물에서는 일체→도입장단→사채→길굿(굿거리)→마당삼채→칠채→육채→자진이재→일채 순으로 연행하였다.

현황

교하지역에서는 예로부터 마을마다 1~2개 이상의 풍물패가 존재하였다고 하나 현재는 교하리, 와동리, 산남리 등 몇 개의 마을에서 그 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간헐적으로 두레 풍물놀이를 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하두레풍물보존회가 조직되어 교하 두레 풍물의 보존과 전승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파주시의 중고등학교에서 전승교육을 실시하는데, 2006년에는 경기도 청소년민속예술제에 출전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풍물굿』 (김원호 외, 경기문화재단,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