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노랫가락 (노랫가락)

고전시가
개념
서울과 경기도에서 연행되는 굿에서 불리는 무당의 노래. 巫女─.
이칭
이칭
巫女─
정의
서울과 경기도에서 연행되는 굿에서 불리는 무당의 노래. 巫女─.
구성 및 형식

무당노랫가락은 사설 형태가 시조와 동일해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4음보의 3장 구조라는 점뿐 아니라 종장 둘째 음보가 5음절인 것까지 시조와 형태가 같다. 음악적 구성은 다르지만 5박과 8박을 사용하는 점은 동일하다. 무당노랫가락은 인천·강화와 수원·평택 등에서도 불리지만 형태와 음악 구성이 다르다.

내용

1946년에 이희승은 무당의 노랫가락이 시조의 원상일 것으로 추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하여 국악계의 장사훈은 『삼죽금보(三竹琴譜)』의 「무녀시조(巫女時調)」의 곡조를 검토하여, 가곡이 축소되어 시조가 되었듯이 조선 말 고종 무렵에 시조가 축소되어 무녀시조가 되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미 1799년 10월 하순부터 1800년 2월 초까지 경상도 합천에 있으면서 본 것을 기록한 이옥의 문집에 서울 굿 노랫가락의 가사가 나타나며 신위(申緯, 1769∼1845)가 지은 「소악부」의 ‘신래로(神來路)’라는 한역시는 무당노랫가락의 대표적 일절 “(본향 양산) 오시는 길에 가얏고로 다리를 놓소.”를 한역한 것이다.

무당노랫가락은 청배나 공수와 마찬가지로 서울 굿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중요한 연행 요소이다. 굿에서 노랫가락의 기본형은 ‘신명의 찬미-청배-재수 소망-부탁’이라는 구성요소를 갖춘 노랫가락을 말한다. 진오귀굿에서 시왕가망 노랫가락과 중디 노랫가락은 후반부의 기원이 재수 소망이 아니라 망자 천도로 변형되었다.

재수굿에서 가장 대표적인 노랫가락 가사는 다음과 같다.

“본향 양산 오시는 길에 가얏고로 다리를 놓고/ 가얏고도 열두 줄인데 어느 줄마다 서겨외서/ 줄 아래 덩기덩 소리 노니라고.”

신령과 인간이 만나는 공간인 굿은 인간이 신에게로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엄숙함도 아니고, 신이 일방적으로 인간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무거움도 아니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과 신의 만남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인간이 신이 필요해 불러 모시듯 신도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 둘은 화합을 이루어야 하며 그 화합은 신명나는 음악을 통해 보장된다.

진오귀굿에서는 다음과 같이 시작하는 〈중디 노랫가락〉이 불린다.

“서낭당 뻐꾹이 새야 너는 어이 우짖느냐/ 속 비신 고향나무에 새 잎 나라고 우짖느냐/ 겉잎이 이울어졌으니 새 속잎 날까.”

1절인 이 노래의 주제는 새로 속잎이 난다는 것이다. 겉잎은 시들었지만 속잎이 새로 날 것을 바라는 것이다. 이는 망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망자는 겉잎인 이 세상에서의 삶이 이울어졌다. 이제 새로 속잎이 난다는 것은 새로운 삶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이다. 혼령으로서 다른 세상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중디는 바로 그 혼령을 저승으로 안내해 가는 신령이다. 중디와 함께 새로운 곳으로 떠나야 하는 망자의 새로운 상태를 노래로 표현해 보인 것이다.

현황

현재에도 서울 굿에서 연행되는 무당노랫가락은 오신을 포함한 신의 청배와 신에게 인간의 소망을 기원하는 내용 두 부분이 앞뒤로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내용은 재수굿과 진오귀굿에서 다르고, 진오귀굿에서도 사재거리의 노랫가락들과 넋 노랫가락에서 다르게 변이되었다. 재수굿에서는 신을 청배하고 산 사람의 재수 소망을 빌었다. 진오귀굿 사재거리에서는 사재신을 청배하고 망자의 극락천도를 소망했다. 후반부의 넋 노랫가락은 망자를 신격으로 청하고 극락천도를 소망한다.

의의와 평가

서울 굿의 노랫가락은 굿 전체에 걸쳐서 같은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굿의 내용에 따라 사설 내용을 변이시켜 가며 굿의 목적을 이루는 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참고문헌

『서울 굿 노랫가락과 시조문학』(신연우, 보고사, 2013)
「시조와 무녀시조의 관계」(장사훈, 『시조음악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시조기원에 대한 일고」(이희승, 『국문학연구초 』, 을유문화사, 194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