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북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으로서 대방언권 구획상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서의 지위를 가지지만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진 방언이라기보다는 행정 구역상의 구분을 따른 방언이다.
초기에는 충청도 방언이 독립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경기 혹은 중선방언(中鮮方言)의 하위 방언으로만 설정되었지만 이후 충청도 방언이 독자적인 방언권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역사적 · 지리적 조건을 고려한다면 충청도 방언을 독자적인 방언으로 보기 어렵지만 이 지역어만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언어적 특징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언과 마찬가지로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이 방언 고유의 특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충청도 방언의 자음은 19개(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 모음 모두가 변별되는 10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ㅔ’와 ‘ㅐ’의 대립이 소멸되기도 하며 ‘ㅟ’와 ‘ㅚ’는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활음은 2개(j, w)가 있어 10개의 단모음과 결합해 여러 이중 모음을 만들 수 있다.
충청도 방언의 주격 조사로는 ‘-가, -이, -께서, -이서/서’ 등이 있고, 소유격 조사로는 ‘-에, -이’가 있다. 목적격 조사로는 ‘-을/를/ㄹ’이 있고 부사격 조사 중 처격 조사는 ‘-이/이서, -이루/루, -헌티/한티/께’ 등이 있으며, 공동격 조사는 ‘-허구, -랑/이랑’이 있고, 인용격 조사로는 ‘-구’, 도구격 조사로는 ‘-루/으루’, 비교격 조사로는 ‘-보덤/보담’ 등이 있다.
충청도 방언의 서술 종결 어미는 ‘-다/는다/ㄴ다, -네, -지, -으왜(해체)’와 ‘-유, -으왜, -습니다/ㅂ니다(해요체)’ 등이 있고, 의문 종결 어미는 ‘-(으)냐, -나/남, -은가/ㄴ가/는가/은감, -을까, -니, -어, -지, -다(해체)’와 ‘-유, -습니까/ㅂ니까(해유체)’ 등이 있다. 명령 종결 어미로서는 ‘-어라/거라, -게, -어, -지(해체)’와 ‘-유(해유체)’가 있고, 청유 종결 어미는 ‘-자, -지(해체)’와 ‘-지유(해유체)’가 있다. 선어말 어미로서는 주체 경어법의 ‘-시-’와 시제의 ‘-는-(현재), -었-(과거), -겄-(미래)’, 서법의 ‘-더/드-’가 있다. 종속 연결 어미는 ‘-으매, -으문서, -자마자, -어서(시간), -어서, 으니깨, -이라서(원인, 이유), -어두, -이라두, -더라두(양보), -지만(반의), -으문, -드래도/두(조건), -으러, -을라구(의도, 목적), -게, -두룩/도록, -다가(중단, 전환), -든, -든지, -거나, -으나(선택)’ 등이 있다. 내포 어미는 표준어의 그것과 거의 일치하는데 관형사절 형성 어미는 ‘-는(현재), -은(과거), -을(미래)’가 있으며 명사절 형성 어미는 ‘-기’가 있다.
방언 구획 면에서는 충청도 방언이 독자적인 방언으로 인정받기 어렵지만 충청도 방언 고유의 특징은 확인이 가능하다. 충청도는 경기, 강원, 전북, 경북과 경계를 이루고 있어서 주변 지역은 인접한 지역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하지만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서의 공통성을 더 많이 보여 준다. → 중부방언(中部方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