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73장). 필사본.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앞부분은 한시문 5편, 뒷부분에는 한글가사 16편 등 모두 21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한시문으로는 『시경』의 「칠월편(七月篇)」, 백낙천(白樂天)의 「장한가(長恨歌)」,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 소식(蘇軾)의 「전적벽부(前赤壁賦)」 · 「후적벽부(後赤壁賦)」 등이 실려 있다.
가사로는 「옥설화담」(196행) · 「환향별곡」(54행) · 「권학가」(109행) · 「천지가」(69행) · 「죽지사」(26행) · 「계우사」(188행) 등 역대 사적이나 주인공의 생애를 노래한 것, 「기행」(39행) · 「관서가」(28행) · 「호남가」(39행) 등 경기 · 관서 · 호남의 지명으로 엮은 것, 「별어부사」(42행) · 「낙빈사」(50행) · 「은군자가」(26행) · 「어부사」(27행) · 「춘면곡」(55행) 등 강호에 은둔하는 기상이나 유흥을 노래한 것, 정철(鄭澈)의 「관동별곡」(148행) · 「연행별곡」(99행) 등 기행가사가 실려 있다.
이 책의 특성은, 첫째로 다양한 부류의 작품을 ‘가사’라는 표제 아래 수용하고 있는 점이다. 한시문의 경우, 「칠월편」 등의 시, 「등왕각서」와 같은 서, 「적벽부」의 부 등으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으며, 한글 작품의 경우도 「어부사」 등 한시와 가사의 여러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포괄되어 있다.
둘째, 가사 가운데서도 여러 가지 성격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서정적인 가사뿐만 아니라 기행가사 · 서사가사 등은 물론이고, 이른바 12가사 가운데 하나인 「춘면곡」 등 가창가사까지 아울러 수록하고 있다.
셋째, 다른 가집(歌集)에서는 볼 수 없는 가사도 실려 있다. 「연행별곡」 · 「계우사」 등은 수록 당시에는 널리 유행된 것이라 추측되나, 현재에는 찾아보기 힘든 작품들이다.
넷째, 가사가 구비전승되다가 문자로 정착될 때의 변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별어부사」 · 「낙빈사」 · 「은군자가」 등은 같은 제목의 다른 이본과 비교할 때 탈락과 첨가가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밖에도 구비전승된 것을 필사한 데서 일어나는 오류가 발견된다.
이 책의 이러한 특성을 통해서 가사가 독자에게 수용된 당대의 양상, 가사의 개념이나 장르, 그 발생과 전파, 일반의 애호 양상, 한시부와의 관계 등과 새로운 가사작품을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