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 공귀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석기류 · 토기류 · 화덕자리 · 토제품 등이 출토된 집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석기류 · 토기류 · 화덕자리 · 토제품 등이 출토된 집터.
개설

강계군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독로강변에 있다. 1954년 채토작업 중 돌살촉·돌도끼·반달돌칼 등이 발견됨으로써 알려진 뒤 1955년 5월에 발굴되었다.

내용

이 유적에서는 모두 6개의 집터가 확인되었다. 집터는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제4·5호 집터는 너비 80㎝ 내외의 교통호(交通壕)에 연결되어 있고, 제1·4·5호 집터는 화재를 입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2·3·6호 집터는 교통호에 의해 잘려 있어 시간적 차이가 있는 두 시기의 유적이 겹친 것임을 알 수 있다. 집터 내부의 시설은 판석을 깔고 주위에 돌을 세웠거나 땅을 그냥 파고 불을 피운 화덕자리〔爐址〕가 있다.

유물은 돌살촉·돌도끼·반달돌칼·흑요석기·그물추·가락바퀴·곤봉두(棍棒頭)·숫돌·발화대석(發火臺石)·찰절구(擦切具)·매부리형석기·활비비·토기 등으로, 석기 및 토제품이 560점, 토기가 110여 점 출토되었으며, 흑요석편과 청동편이 채집되었다.

돌살촉은 판암을 갈아서 만든 것으로 유병촉(有柄鏃)과 무병촉(無柄鏃)이 있다. 유병촉은 단면이 능형(菱形)인 것과 피홈〔血溝〕이 있는 것, 평육각형인 것, 삼릉형(三菱形)인 것이 있고, 무병촉은 단면 평육각형의 만입삼각형(彎入三角形)이다.

돌도끼는 마제(磨製)와 반마제(半磨製)의 2종으로 사능부(四菱斧)·원통부(圓筒斧)·소석부(小石斧) 등이 출토되었다. 반달돌칼은 모두 합인(蛤刃)이며, 어형(魚形)과 즐형(櫛形)에 구멍은 1개 또는 2개이다.

곤봉두는 뿔이 10∼12개 돋은 별도끼〔多頭石斧〕와 달도끼〔環狀石斧〕로서 교통호와 연결된 화재를 입은 집터에서 발견된 것이 주목된다. 그물추는 석제(石製)와 토제(土製), 그리고 토기파편을 가지고 만든 것의 3종으로 매어쓰기형과 매어쓰기·꿰어쓰기 겸용이 있다.

가락바퀴 역시 석제와 토제, 그리고 토기편을 이용한 것이 있는데, 원판형·만두형·산형의 3종이다. 토기는 바탕흙이 굵은 석립(石粒)과 운모가 섞인 것, 고운 모래가 섞인 진흙, 감탕흙 같은 진흙에 가는 모래같은 운모와 장석이 섞인 것, 석면이 들어 있는 것 등이 있다.

토기의 형태는 두귀달린 항아리〔雙耳壺〕·바리〔平底鉢〕·사발〔盌〕등이 있다. 유물 가운데 곤봉두 등은 서북지방의 각형토기 유적 출토유물과, 흑요석기와 반달돌칼 등은 동북지방의 민무늬토기 유적 출토유물들과 연결된다.

공귀리 유형의 유적은 압록강 중·상류지역 이외에도, 압록강의 지류인 혼강(渾江) 유역과 송화강 유역의 통화현(通化縣) 강구촌(江口村), 길림(吉林)의 장사산(長蛇山)유적 1층, 양반산(兩半山) 유적 아래층, 교하현(蛟河縣) 유적 등이 있다.

참고문헌

「강계시 공귀리 원시유적 발굴보고」(김용간, 『유적발굴보고』 1959년 6집, 과학원출판사, 1959)
「강계시 공귀리 원시유적에 대하여」(김용간, 『문화유산』1958년 4호, 과학원출판사,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