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황해감사, 경기수군절도사,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헌(公獻)
상곡(商谷)
시호
충선(忠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7년(선조 30)
사망 연도
1668년(현종 9)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제천
주요 저서
상곡집(商谷集)
주요 관직
황해감사|경기수군절도사|호조참의
관련 사건
인조반정|정묘호란
정의
조선 후기에, 황해감사, 경기수군절도사,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공헌(公獻), 호는 상곡(商谷). 제천 출신. 강구수(姜龜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신(姜信), 아버지는 강천민(姜天民), 어머니는 임집(林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2년(광해군 4) 진사가 되었다. 이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는 등 광해군의 정치가 문란해지자 과거의 뜻을 버리고 10년 동안 고향에 칩거했다. 1623년 인조반정 뒤 과거에 응시했고, 이듬해 증광 문과의 갑과로 급제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예빈시직장으로 임금을 모시고 강도(江都)로 들어가 화의를 반대하고 항전할 것을 주장했다.

즉, 도망자들을 돌려 보내달라는 청나라의 요구를 들어주고 화의를 주장하는 이귀(李貴) 등의 의견에 반대 상소를 했다. 1639년최명길(崔鳴吉)의 천거로 병조좌랑이 되었고, 1642년에 지평이 되었으며, 1651년(효종 2)에 의주부윤(義州府尹)이 되었다.

이어 조정에서 문무를 겸한 장재(將才)로 천거돼 1553년 함경남도병사에 임명되었다. 성벽 수축과 병사의 훈련을 잘해 왕이 좋은 말을 내려 업적을 극찬하고, 이듬해 북병마사를 제수하였다. 1656년 승지를 거쳐 황해감사 · 경기수군절도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충청감사를 역임했다.

1659년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가서 왕의 북벌의 뜻을 받들어 적의 허실을 살피고 왔다. 그러나 이해 왕이 죽자 황해감사로서 북벌의 좌절을 크게 통곡했다.

1661년(현종 2) 수원부사에 가자(加資)되었으며, 1663년 우부승지 · 좌부승지 ·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강릉부사에 이어 호조참의가 되었다. 후에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저서로는 『상곡집(商谷集)』이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상곡집(商谷集)』
『정암집(貞菴集)』
집필자
이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