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론 ()

목차
유교
개념
정치 · 사회적 폐단이 누적되었을 때 나라의 정신과 문화를 일신해야 한다는 개혁안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목차
정의
정치 · 사회적 폐단이 누적되었을 때 나라의 정신과 문화를 일신해야 한다는 개혁안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내용

우리 유학사에서 이 경장론을 역설하였던 사람으로는 조광조(趙光祖) 외에 이이(李珥)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이의 역사철학에 의하면, 역사의 모든 시기는 창업(創業)·수성(守成)·경장의 3기로 구분된다. 역사의 전개에서 일단 창업이 이루어지면, 그 혁명의 이념과 정신을 잘 보존하고 전수하는 수성의 시기가 오게 되고, 수성의 시기가 오래 지속하다 보면, 정신과 문물제도가 병들게 되는 시기가 필연적으로 오게 마련이다. 그런 경우에 경장을 해야 하는데, 경장할 때가 되어서 경장을 하지 못하면 나라에 큰 병폐가 생기게 된다고 말하였다.

이런 역사관 속에서 그는 당시를 경장의 시대로 규정하고, 사회와 정치의 숙폐(宿弊)를 지양하고 새로운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한 개인이나 기성의 관료에 의해서가 아니고, 시무(時務)를 밝게 알고 국사(國事)를 염려하는 사류(士類)에 의해 나라의 최고 지성이 동원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가 경제사(經濟司) 창설을 주장한 것도 경장론의 한 보기이다. 경장론의 내용을 정책적으로 요약하여보면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당시를 실질적인 내용이 없는 시대라고 규정하면서, 그의 저서인 『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萬言封事)』 등에서 ① 상하간에 신의의 실지가 없음(上下無交孚之實), ② 신하가 일을 담당하는 실지가 없음(臣隣無任事之實), ③ 경연강의가 성취되지 않음(經筵無成就之實), ④ 어진이를 초대함이 이루어지지 않음(招賢無成就之實), ⑤ 재난을 만나도 하늘에 응하는 실지가 없음(遇災無應天之實), ⑥ 모든 정책이 백성을 구제하는 실지가 없음(群策無救民之實), ⑦ 사람의 마음이 선으로 향하는 실지가 없음(人心無向善之實)을 들어, 이와 같은 나라의 공허를 채우기 위해서도 근본적인 경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 경장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① 정치나 학문의 사고방식에서 단순히 권위에 얽매이거나 유속(流俗)에 맹목적으로 따르지 말고 자주적 비판정신을 가질 것, ② 국민들의 생활고를 시급히 해결할 것, ③ 교육과 교육제도의 합리적 운영 및 교육자 우대 등 일대 교육혁신을 단행할 것, ④ 계층간의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된 데서 오는 사회적 폐습을 혁파할 것 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이의 경장정책은 크게 쓰여지지 못하고, 그의 죽음과 함께 동서당쟁은 더욱 치열해졌고, 임진왜란을 당하여 국가의 위기는 극도에 달하게 되었다.

이이 이전에 이미 조광조도 도학정치(道學政治)에 바탕을 둔 경장정책을 도모했으나, 결국 개혁정치가 오래 가지 못하고 기묘사화를 당해 그는 악의(惡意)의 희생이 되어 38세의 젊은 나이에 타계하고 말았다. 조광조는 민본주의사상과 지도층의 각성을 촉구하고 왕도정치의 이상과 인도정치의 발현을 겨냥하며, 말길(言路)의 개방과 말의 책임(言責)을 강조하면서 사림(士林)의 힘을 배양하여, 나라가 정의를 잃고 이욕(利欲)의 폐단에 빠지는 것을 혁파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의 개혁정치가 끝내 좌절하고 또 이이에 이르러 다시 강조되었으나 그의 죽음과 함께 경장의 의지가 크게 꽃을 피우지 못하였다.

조광조와 이이와는 다른 각도에서 조선 말기에 개혁파가 갑오경장을 통해 시 나라의 근대화를 겨냥하였지만, 좋은 결과를 맺지는 못하였다.

참고문헌

『정암집(靜庵集)』(조광조)
『율곡집(栗谷集)』(이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