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음집 ()

목차
관련 정보
조팽년의 계음집 중 표지
조팽년의 계음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조팽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조팽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활자본. 1899년 후손 창하(昌河)·면형(冕衡) 등이 편집, 박정양(朴定陽)의 후원으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면형의 후서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272수, 부 15편, 권4·5에 논 2편, 전 2편, 표 1편, 문 1편, 서(書) 3편, 기(記) 1편, 잡저 1편, 권6은 부록으로 행장 1편, 묘표 1편, 호성공신도감정문(扈聖功臣都監呈文) 2편, 전지(傳旨) 1편, 주봉서원축문(胄峰書院祝文) 1편, 금릉창의록부(金陵倡義錄附)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용만술회(龍灣述懷)」와 「남귀부(南歸賦)」에는 임진왜란 당시 대가(大駕)를 호종하여 의주까지 갔을 때 느낀 참혹한 정경과 비참한 피란생활이 잘 묘사되어 있고, 뒤에 서울로 돌아올 때의 상황과 보고 듣고 느낀 감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강개한 우국충정이 담겨 있다.

「상이통제(上李統制)」는 이순신(李舜臣)에게 올린 시로, 나라의 어려움을 당하여 왜적을 무찌른 공로를 찬양하고 더욱 힘써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리고 장량(張良)과 제갈량(諸葛亮) 등 옛날 중국의 명장들을 제목으로 삼아 지은 시에는 그들의 충성심을 간접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그밖에도 「역수비가부(易水悲歌賦)」라든가 「범순인론구채확론(范純仁論救蔡確論)」에서는 나라를 위하는 단심을 비유하여 묘사하고, 인간의 허물을 용서하는 데도 공사가 있어 공에서는 사가 개입될 수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잡저인 「독서강요」에서는 학문을 하는 방법은 독서에 있고, 독서의 근본은 경(敬)을 위주로 하고 심지를 확고히 가지는 데 있음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