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풍 분지 (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평안북도 초산군 강면 · 풍면 · 고면(지금의 자강도 고풍군)에 걸쳐 있는 분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안북도 초산군 강면 · 풍면 · 고면(지금의 자강도 고풍군)에 걸쳐 있는 분지.
개설

고풍분지의 북부에는 강남산맥(江南山脈)에 속한 북동산(北東山, 1,487m) · 삼각봉(三角峰,1,059m) · 양지증봉(陽地甑峰, 978m) · 삿갓봉(笠峰, 1,017m)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남쪽에는 적유령산맥(狄踰嶺山脈)에 속하는 삼봉산(三峰山, 1,585m)에서 고암산(姑巖山, 1,763m) · 주사산(朱沙山, 1,704m) · 백두산(白頭山, 1,623m) · 명장산(明場山 1,197m) 등이 연이어 있다.

강남산맥과 적유령산맥 사이는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충만강(忠滿江)의 고면천(古面川) · 풍면천(豊面川) 등의 여러 하천에 의하여 형성된 골짜기로 주민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한다. 분지는 동서 길이가 대략 23㎞이고, 남북은 16㎞이며, 면적은 311㎢이다.

자연환경

고풍분지의 지질은 주로 점판암 · 석회암 · 화강반암 · 섬록암 등이고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이 발달하였다. 토양은 대부분 갈색산림토이며 하천 연안의 충적지가 농경지로서 중요하다.

연평균 기온은 5.4℃로 1월 평균 기온은 -12.5℃, 8월 평균 기온은 20.8℃이며, 연강수량은 1,027㎜이다. 임산자원은 소나무 · 참나무 · 분비나무 · 박달나무 · 단풍나무 · 피나무 · 사스래나무 · 이깔나무 등이 미림을 이루어 압록강 임산 지역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현황

경지는 18% 가량인데 이 중 논이 5.8%, 과일 밭이 4.9%, 뽕밭이 5.8%로 밭은 82%나 된다.

농산물 중에서는 옥수수 · 수수 · 조 · 콩 · 감자 등이 주요 농산물이며 벼의 생산량은 적다. 가축은 소 · 양 등을 많이 기르고, 벌꿀과 약초, 산나물의 품질이 좋다.

분지의 중앙에서 약간 북쪽으로 치우쳐서 고면천과 백면천(栢面川)과의 합류점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전개되는데 이곳에 군 행정 중심지인 고풍읍(해방 전에는 구아동(旧衙洞)이라 했다.)이 있으며 가까이에는 이산군치터(理山郡治址)와 가마봉산성(加馬峰山城)이 있어 역사가 오래된 취락임을 알 수 있다. 이곳을 중심으로 초산, 우시(雩時), 송원(松源) 등에 이르는 도로가 통해 있다.

집필자
이영택(전 서울여자고등학교, 지리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