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호대 ()

목차
국악
제도
1881년(고종 18) 이후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軍禮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된 취주악대.
목차
정의
1881년(고종 18) 이후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軍禮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된 취주악대.
내용

중앙을 비롯한 각 지방의 대대단위의 부대에 두었다. 연대본부에는 부교(副校) 3인, 곡호수(曲號手) 30인, 고수(鼓手) 30인씩이 배치되었고, 대대에는 부교 1인, 곡호수 10인, 고수 10인이 배치되어 구성되었다.

서양식 군대 훈련방법의 채용으로 인한 별기군(別技軍) 창설 이후 일본의 고대(鼓隊) 혹은 고적대(鼓笛隊)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곡호수나 고수들이 어떠한 악기를 연주하였는지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으나, 대개 나발과 북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격적 서양식 군악대의 창설을 유도한 전 과정으로 과도기적인 성격을 지닌 악대였다. 처음의 훈련과 의식은 프랑스식이나 러시아식을 따랐으며, 이와 같은 새로운 의식은 여러 사람의 시선을 끌었으며, 이러한 모습은 서울지방의 휘모리잡가 중 하나인 「병정타령」의 노랫말에도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한국음악사』(이혜구, 대한민국예술원, 1985)
『여명의 동서음악』(장사훈, 보진재, 1974)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