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승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번절제사, 중군총제, 전라도처치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31년(세종 13)
본관
청주
주요 관직
전라도처치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번절제사, 중군총제, 전라도처치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곽충보(郭忠輔)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蔭補)로 무관직에 나가 1399년(정종 1) 별장이 되었다. 이때 아버지와 함께 사적인 감정으로 황문(黃文) 등을 처벌한 일로 탄핵을 받아 한때 청주로 유배되었다.

그 뒤 1404년(태종 4) 호군(護軍)으로 승진해 무신으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그러나 부친상을 당하고도 자세가 오만하다는 이유로 대간(臺諫)으로부터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뒤에 다시 기용되어 1408년 상호군(上護軍)으로서 풍해도조전첨절제사(豊海道助戰僉節制使)가 되었으며, 1410년 경원부병마절도사(慶源府兵馬節度使)가 되었다.

이때 우디거[尤狄哈]·오도리[吾都里]의 야인들이 침입해오자 이들을 막아 싸웠으나 패했다. 죽은 자가 73인, 부상자가 52인이며, 전마(戰馬) 120필과 병갑(兵甲) 24부(部)를 모두 적에게 빼앗겼다.

이리하여 두 능을 함주(咸州)로 옮기고, 민가를 옮겨 경성군에 합병하고, 그 땅을 비우게 되었다. 이러한 패전의 책임을 물어 대간에서 논란이 많았으나, 호분시위사총제(虎賁侍衛司摠制)로 전직되었다가, 다시 탄핵을 받아 동래부에 귀양갔다.

그 뒤 1411년 동지총제(同知摠制)가 되고, 이듬해 내금위절제사(內禁衛節制使)와 중군총제(中軍摠制)를 지냈다. 1413년 동지총제와 내금위중군절제사(內禁衛中軍節制使)를 지낸 뒤, 1418년 이번절제사(二番節制使)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중군총제를 거쳐, 이듬해 전라도처치사(全羅道處置使)로 활약하던 중 죽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