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창의록 ()

관동창의록
관동창의록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민용호가 강릉에서의 의병활동에대하여 기록한 실기. 의병운동자료집.
이칭
이칭
존주록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민용호가 강릉에서의 의병활동에대하여 기록한 실기. 의병운동자료집.
편찬/발간 경위

필사본. 상하 2책. 민용호는 1896년 1월 의병을 일으킨 이후 의병항전 전기간에 걸쳐 그때 그때의 일들을 단편적으로 기록하여 놓았으나, 이 기록은 1896년 3월 원산진공작전중 분실하고 말았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계속 기록을 남겨 삼척·양구에 보관하여 두었다.

민용호는 이 기록을 토대로 의병항전 후 태천의 장수재(藏修齋)에 머무르던 1897년 전반기에 박동흠(朴東欽)과 함께 이 책을 편찬하였다.

서지적 사항

박동흠이 이 때 그 서명을 ‘존주대의록(尊周大義錄)’으로 할 것을 주장한 까닭에 현존하는 필사 원본의 표제는 상·하권 모두 ‘존주록(尊周錄)’으로 되어 있고, 그 가운데 상권에만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이 함께 씌어 있다.

내용

상권은 1895년 을미사변 직후 의병을 일으킨 때부터 1896년 2월까지, 하권은 1896년 3월부터 같은 해 11월 의병 해산 후 중국 망명 초기까지의 내용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반드시 일기식으로 기술된 것은 아니나, 대체로 월별로 묶어 날짜순으로 기록하였다.

내용은 1896년 1월 처음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정황에서부터 강릉을 향해 동진하며 박동의(朴東儀)·강우서(姜禹瑞) 등의 인재와 군세를 모으던 사실, 강릉 점령시 토착 세력과의 갈등과 연합 과정, 원산진공작전, 군권쟁탈전의 성격이 내재된 이병채(李秉埰)·권인하(權仁夏) 모반사건, 의진의 북상과 해산 등에 이르기까지 1896년 8월까지 지속했던 강릉의병의 활동 전모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유인석(柳麟錫)이 이끄는 제천의병과 강릉의병이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 민용호로부터 함경도소모장에 임명된 최문환(崔文煥)이 함흥에서 활동한 내용, 비교적 그 실상이 잘 알려지지 않은 태백산맥을 낀 영동 각지의 의병항전 상황 등을 기술한 대목이 주목된다.

또한, 하권 중에는 의병기록으로서는 드물게, 조선의 문물제도가 번성함을 칭송하고, 일제 침략으로 인한 국가 변란을 탄식하며 온 국민이 일치 단결하여 국권을 회복할 것을 주장한, 120여 행에 달하는 장편의 국한혼용 가사 「회심가(回心歌)」가 수록되어 있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이 책은 저자가 의병항전 이후 중국으로 망명해서 활동한 내용을 기술한 『서정일기(西征日記)』, 귀국 후 상무사에서의 활동 내용인 『강북일기(江北日記)』와 함께 그의 3대 저작 가운데 하나이다. 원본은 독립기념관에 있으며, 같은 서명으로 1984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료총서 제30권으로 번각 발행하였다.

참고문헌

『부재집(復齋集)』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국사편찬위원회, 1984)
「민용호(閔龍鎬)의 강릉의병(江陵義兵) 항전(抗戰)에 대한 연구」(박민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 1991)
「강릉의병장(江陵義兵將) 민용호(閔龍鎬)의 생애(生涯)와 거의론리(擧義論理)」(박민영, 『윤병석교수화갑기념한국근대사논총(尹炳奭敎授華甲紀念韓國近代史論叢)』, 199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병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