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수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관수재유고
관수재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홍계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계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21년(경종 1) 아버지 우채(禹采)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세태(洪世泰)와 조의중(趙毅仲)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06수, 명 1편, 사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12수, 제문 4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문채(文彩)가 뛰어났으나, 19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는데, 시 가운데 「연적명(硯滴銘)」은 8세 때 지은 것으로 허실(虛實)을 한나라 진평(陳平)에 비유하고 기공(器功)을 제나라의 관중(管仲)에 비유하여 그 표현방법이 독특하다.

「희설(喜雪)」은 3·4조 정형으로 234구 2,241자로 이루어진 가사로 「관동별곡」의 1,990자보다 250여 자나 많은 대작인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이 작품은 눈을 소재로 하였다는 점과 한자에 한글로 토를 단 것이 특이하며, 가사의 낙구형식(落句形式)의 변천을 살피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그밖에 한고조 유방(劉邦)의 소년 시절의 용기와 담력을 찬미한 「열권기채(裂券棄債)」, 부귀가 극진한 자리에 있으면서도 비굴하고 아첨해야 하는 인간의 허약상을 묘사한 「구석조왕승상(九錫朝王丞相)」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