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역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지방의 관역을 관장하던 외관직.
이칭
이칭
제도순관, 제도관역사
목차
정의
고려시대 지방의 관역을 관장하던 외관직.
내용

국초에 제도순관(諸道巡官)이라 하였으나, 1028년(현종 19) 현종의 휘가 순(詢)이었으므로 같은 음을 피하기 위하여 제도관역사(諸道館驛使)라고 개칭하였다.

고려시대의 참역(站驛)은 산예(狻猊)·금교(金郊)·절령(岊嶺)·흥교(興郊)·흥화(興化)·운중(雲中)·도원(桃源)·삭방(朔方)·청교(靑郊)·춘주(春州)·평구(平丘)·명주(溟州)·광주(廣州)·충청주(忠淸州)·전공주(全公州)·승라주(昇羅州)·산남(山南)·남원(南原)·경주(慶州)·금주(金州)·상주(尙州)·경산부(京山府) 등 22도(道)에 나뉘어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관역사 또한 22도에 각각 파견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1226년(고종 13)에 관역이 피폐해지자 별감을 파견하여 무휼(撫恤)하게 한 것을 보면, 관역사는 그 이전에 이미 폐지된 듯이 보인다.

그 뒤 관역은 안찰사 등 지방관과 정역별감(程驛別監)이 관장하였으며, 1389년(공양왕 1)조준(趙浚) 등의 건의에 따라서 관역마다 역승(驛丞) 1인씩이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집필자
이익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