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담실기 ()

목차
관련 정보
정인준의 구담실기 중 권수면
정인준의 구담실기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인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인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07년 후손 재욱(在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면규(鄭冕圭)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수, 부 1편, 서(書) 1편, 잡저 2편, 기 1편, 묘갈명 2편, 제문 1편, 권2는 부록으로 세계·신해생갑회도(辛亥生甲會圖)·지·후서 각 1편, 시 2수, 만사 9수, 제문 1편, 유사 1편, 유사후 1편, 묘갈명 1편, 봉안문 1편, 상향문 1편, 고유문 2편, 척록(摭錄) 16편, 종유록(從遊錄) 1편, 후지(後識) 2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시대적인 영향을 받아 울분과 강개한 심정을 읊고 있으며, 다양한 시재를 발휘하고 있다. 「감우(感遇)」 12수와 「술회(述懷)」 4수, 그리고 「탄세(歎世)」는 임진왜란의 참혹상과 민중의 비참한 광경을 묘사한 것으로, 절망적인 상태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국민의 앞날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독맹자(讀孟子)」는 맹자의 정치이론과 같이 태평성대를 이룰 날을 고대하면서 어지러운 현실을 탄식한 것이며, 「유거즉사(幽居卽事)」는 은둔생활을 하면서 당시에 일어난 사실들을 단편적으로 읊은 것이다.

「가야록(伽倻錄)」은 1625년(인조 3) 가을에 가야산을 유람하고 쓴 것으로, 괘양사(掛陽寺)·홍류동(紅流洞)·촉석대(矗石臺)·회선암(會仙巖)·낙화담(落花潭)·해인사 등의 절경과 노정을 기록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