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복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수찬, 이조좌랑, 구례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응(伯凝), 정지(挺之)
병암(屛菴), 수재(睡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91년(성종 22)
사망 연도
1535년(중종 30)
본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이조좌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수찬, 이조좌랑, 구례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백응(伯凝)·정지(挺之), 호는 병암(屛菴)·수재(睡齋). 구강(具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신충(具信忠)이고, 아버지는 생원 구이(具頤)이며, 어머니는 덕수이씨로 현감 이의영(李宜榮)의 딸이다. 동생은 구수담(具壽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10년(중종 5)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4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다. 1516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부정자(副正字)에 제수되었다가 곧 검열에 천거되었고, 주서(注書)·부수찬(副修撰)·정언(正言)·수찬·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던 날 밤, 재상들이 예문관 관원을 파직하기를 청하였을 때 이조좌랑으로 패초(牌招: 왕명을 받은 승지가 그 명령을 패에 써서 당사자에 전함)를 받고 대궐에 이르러 “만약 사관을 다 파면하면 오늘날 기주(記注)는 누가 담당해 닦으오리까.” 하며 항의한 바 있다.

또한, 조광조(趙光祖) 등을 치죄할 때 왕이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고 성운(成雲)을 승지에 임명하자, 그 고신(告身)에 서명하지 않는 등 사림파의 성향을 띠어 군직(軍職)으로 좌천되었다. 1533년 가을에 이준경(李浚慶) 및 아우 구수담 등의 힘으로 구례현감으로 서용되었으나, 재직중에 죽었다.

김정(金淨) 등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하였다. 성품은 겉으로는 온화한 듯하면서도 안으로는 강의(剛毅: 강건하고 굳셈)하여 모든 의롭지 않은 일에 조금도 굽히지 않았으므로 남의 존경을 받게 되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자대전(宋子大全)』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대동야승(大東野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