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자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좌부승지, 우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충장(忠莊)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56년(세조 2)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승지|참판
관련 사건
단종복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좌부승지, 우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권백종(權伯宗)이고, 아버지는 판한성부사 권전(權專)이며, 어머니는 서운관부정 최용(崔鄘)의 딸이다. 문종비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4년(단종 2) 좌부승지에 이어 우승지가 되고, 1455년 호조참판에 승진되었다. 그해 수양대군이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을 때에 단종의 외숙부로서 세조의 즉위에 협력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피동적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주1

1456년 성삼문(成三問) · 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였으나 김질(金礩)의 고변으로 발각되어 사육신 등과 함께 거열형(車裂刑)을 주2 1699년(숙종 25) 관직이 복구되고 뒤에 영월의 장릉(莊陵: 단종의 능)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주3

참고문헌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지퇴당집(知退堂集)』
『모재집(慕齋集)』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주석
주1

좌익공신에 책록 : 『세조실록』 2권, 1455년(세조 1) 9월 5일. "좌익 공신을 정하다"

주2

단종복위 참여 및 처벌 : 『세조실록』 4권, 1456년(세조 2) 6월 8일. "의금부에서 성삼문 등의 반역죄를 고하니 연루된 자들의 처벌을 명하다"

주3

시호 추증 : 『영조실록』 112권, 1769년(영조 45) 6월 26일. "영산군 이전·예조 판서 권자신·좌의정 서명균 등에게 시호를 내리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