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문전회록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여인이 지켜야 할 모든 행실을 여러 가지 열녀전·내칙(內則)·가언편(佳言篇)·선행편(善行篇) 등에서 모아 기록한 가사작품으로서, 어려서부터 출가한 뒤까지의 여러 가지 행실을 가르치고 있다.

모두 716구이며,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으나 3·4조가 우세하다. 구성은 사구고(事舅姑)·사군자(事君子)·봉제사(奉祭祀)·접빈객(接賓客)·태교(胎敎)·육아(育兒)·어노비(御奴婢)·치산(治産) 등으로 되어 있는데, 특히 사군자조를 강조하고 있다.

내용

맨 앞의 서사부는 다른 규방가사와 비슷하게 “건곤이 초판한 후/만물이 품ᄉᆡᆼ한대/……/지쥬ᇰ하신 사람이요/지정하신 사람이라/건도난 성남이요/ 곤도난 성여로다”로 시작된다.

제2단에서는 여자들은 규중에서만 살아 20세가 다 되어도 삼강오륜이나 성현의 말씀을 알 수가 없으므로, 열녀전과 내칙·가언편·선행편을 대강 기록한다고 하였다. 제3단에서는 20세 전에는 규중행실이 으뜸이라면서, 10세 전후에는 나다니지 말 것과, 유순하고 정숙하며 음식과 방적을 잘할 줄 알아야 한다고 이르고 있다.

제4단에서는 시집가서는 지아비를 하늘같이 섬기고 시부모를 잘 봉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이 가사는 남자와는 달리 매사를 조심해야 하는 규문의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으며, 특히 지아비를 잘 섬겨야 한다는 사군자조를 강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규방가사(閨房歌辭)』 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집필자
김선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