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 )

목차
관련 정보
금영 측우기
금영 측우기
과학기술
유물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기상청에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기.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기상청에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기.
개설

202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조선 세종 때 반포되고 영조 때 개정된 우량 관측제도에 의하면, 전국 팔도의 감영(監營)에 측우기를 설치하여 강우량을 측정, 보고하도록 했다. 금영 측우기는 공주의 충청감영, 즉 금영(錦營)에 설치된 측우기라는 뜻이다.

내용

금영 측우기는 제작된 이후부터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70여 년간 공주감영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1910년대 초 일본의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에 의해 수집되어 그가 귀국할 때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기상청에서 보관되어오다가, 1971년 우리나라에 반환되었다. 현재 기상청에 보관되어 있다.

특징

청동으로 제작된 이 측우기는 표면에 새겨진 “도광정유제(道光丁酉製)”라는 글귀를 통해 1837년(헌종 3)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높이 32㎝, 바깥지름 15㎝, 안지름 14㎝, 무게 6.2㎏이며, 상·중·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 단을 분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할 때에는 꼭 맞게 조정하여 쓰게 되어 있다. 상·중·하단의 길이는 각각 10.6㎝, 10.5㎝, 10.3㎝이며, 조립하였을 때의 그릇의 깊이는 31.5㎝이다.

현황

조선시대의 측우기 관련 유물로 측우기를 설치했던 대석(臺石)은 몇 기가 남아 있지만, 빗물을 담는 그릇으로 현존하는 것은 금영 측우기가 유일하다. 금영 측우기를 이용한 강우 관측 기록도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충청감영계록(忠淸監營啓錄)』에는 금영 측우기가 제작되기 1년 전인 1836년에서 1895년까지 약 300건의 측우기 관측 기록이 담겨 있다. 또한 공주박물관에는 이 측우기를 받쳤던 것으로 전해지는 정사각형의 받침돌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과학기술사』(전상운, 정음사, 1976)
「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和田雄治, 朝鮮總督府觀測所 編,『朝鮮古代觀測成績調査報告』, 1917)
문화재청(www.cha.go.kr)
한수당연구원(blog.naver.com/hahnsudang)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