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금보 ()

목차
국악
문헌
1938년 작자 미상의 「정악조음」 · 「본영산회상」 · 「중영산」 등을 수록한 악보. 가야금악보.
목차
정의
1938년 작자 미상의 「정악조음」 · 「본영산회상」 · 「중영산」 등을 수록한 악보. 가야금악보.
내용

표지명은 없고 단지 ‘戊寅年 月日’이라고만 적혀 있어 간행년대를 1938년으로 추정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이 악보를 학계에 처음 소개한 이동복(李東福)이 뒷표지에 적힌 ‘琴隱(금은)’이란 기록을 편자의 아호(雅號)일 것으로 추정하여 『琴隱琴譜(금은금보)』라 가제(假題)한 것이다.

수록악곡은 「정악조음(正樂調音)」·「본영산회상(本靈山會像)」·「중영산(中靈山)」·「하영산(下靈山)」·「가락환입(加樂還入)」·「상현(上絃)」·「잔도드리」·「돌장」·「하현」·「염불」·「타령」·「당학」·「양청(개면)」·「글기도드리」등으로 현행 ‘갖은 회상’의 악곡과 같다.

「상현」 2장까지는 한지(韓紙)에 정간을 긋고 한글 육보로 적었으며, 이하는 미농지(美濃紙)를 세로로 하여 정간 없이 육보만 적었다. 해제자에 의하여 거문고 고악보로 소개되었으나, 가야금 악보임이 분명하다.

그 기보법은 가야금 12현의 순서에 따라 저음(低音)부터 ‘크 살 흥 둥 당 동 징 ○ 지 ○ 칭 ○’의 구음(口音)을 적어 육보로 기록한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금은금보(琴隱琴譜)』
『한국음악학자료총서』18(국립국악원, 1985)
「가야금 구음의 변천에 관한 연구」(김영운, 『국악원논문집』2, 국립국악원, 1990)
집필자
김영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