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수준원점 표석 (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수준 측량의 시발점이 되는 수준원점의 높이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표석.
목차
정의
수준 측량의 시발점이 되는 수준원점의 높이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표석.
내용

우리나라의 수준원점은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53번지(인하공업전문대학 구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인천항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26.6871m이고, 수정판(水晶板)에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표의 높이, 즉 표고의 기준면으로 사용하는 평균해수면은 가상의 면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하여 수준측량을 할 경우 이것을 부동의 위치에 고정시켜 두어야 한다. 이 고정점을 수준원점이라 한다. 이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국도 및 중요 도로에 따라서 4㎞마다 1등 수준점이 설치되며, 1등 수준점을 기준으로 2㎞마다 2등 수준점이 설치된다.

우리나라의 수준망은 당초 1910∼1915년 사이에 정비, 설정되었으며, 이때 평균해수면을 알기 위한 대표적 검조장(檢潮場)으로 청진·원산·목포·진남포·인천을 선정, 관측하고 이들 5개소에 표석을 매설하였다. 이 수준기점들을 기준으로 전국에 수준점을 매설하였다. 휴전선 이남의 경우, 국도에 연하여 4㎞마다 총 732점의 1등 수준점이 설치되었다.

광복 후 내무부 토목국에서는 조선총독부에서 사용하던 성과표를 이용하여 파괴된 수준점을 복구, 이용해 왔으나, 6·25전쟁 등으로 기설 기본 수준점이 모두 유실되었다. 그 뒤 1963년 12월에 국립건설연구소에서 인천에 새로운 수준원점을 설치하였으며, 국립지리원은 1974년부터 남한 전역의 1등 수준점 측량사업에 착수하여 전국적으로 1등 및 2등 수준점을 보완하고 있다.

수준점은 국토 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국토의 개발·이용과 보존을 위한 각종 건설사업의 기초가 된다. 수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석의 설치방법은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튼튼히 하고, 지표에 노출된 표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위에 보호석을 놓고, 필요하면 콘크리트로 포장한다.

참고문헌

『측량학원론(測量學原論)』(유복모, 개문사, 1984)
『측지기준점(測地基準點)의 이모저모』(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측량공학(測量工學)』(유복모, 박영사, 1980)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