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극핍 ()

목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호조판서,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성(子誠)
시호
정평(靖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2년(성종 3)
사망 연도
1531년(중종 26)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좌찬성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호조판서,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성(子誠). 김문(金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김철산(金鐵山)이고, 아버지는 좌리공신 좌참찬 김겸광(金謙光)이며, 어머니는 중군사직(中軍司直) 진계손(陳繼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9년(성종 20) 진사가 되고, 1498년(연산군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에 보임되었다. 검열(檢閱) · 전적(典籍) · 예조좌랑을 거쳐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에 선임되어 경연검토관(經筵檢討官) · 춘추관기사관을 겸임했다. 1503년 지평에 올라 언론 활동을 벌이다 부사직으로 좌천되었으며, 이듬해인 1504년 예조정랑을 제수받은 뒤 갑자사화로 고산현에 유배되었다.

중종반정 뒤 재기용되어 교리 · 장령 · 부응교 · 예빈시부정 등을 역임했고, 승문원교감 · 사간 · 집의 · 제용감정(濟用監正)을 거쳐 1511년(중종 6)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다. 이듬해 첨지중추부사 · 호조참의를 거쳐 좌승지로 재임 중, 박영문(朴永文) 옥사의 국문(鞠問)에 참여하였다.

이어 충청도관찰사 · 한성부윤 · 공조판서를 역임했고, 1519년 개정가계사은사(改正家系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좌참찬을 제수받았다. 형조판서 · 대사헌 · 이조판서 · 호조판서 겸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 등 현직을 두루 거쳐 1525년 좌찬성에 올랐다. 1530년(중종 25)에 권신 김안로(金安老) · 허항(許沆) 등의 미움을 받아 고신(告身)을 박탈당하자 울분으로 단식하였고, 끝내 이듬해에 죽었다.

이항(李沆) · 심정(沈貞)과 함께 세간에서 삼간(三奸)으로 지칭했으며, 사림파와 대립해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1538년에 김안로 일파가 몰락한 뒤에 신원되었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양곡집(陽谷集)』
『호음잡록(湖陰雜錄)』
『이락정집(二樂亭集)』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이병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