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석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길』, 『해변의 시』 등을 저술한 시인. 비평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경기도 부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길』, 『해변의 시』 등을 저술한 시인. 비평가.
생애 및 활동사항

경기도 부천 출생. 인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인천상업학교에 입학하였다가 뒤에 중앙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였다.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와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를 거쳐서 광복될 때까지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1944년에는 연극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여 비평가로 활동하였으며, 주간 『상아탑(象牙塔)』을 간행하였다. 1946년 문학대중화운동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고 1950년에 가족과 함께 월북하였다.

그의 문학 활동은 1945년에서 1949년 사이의 짧은 시기에 집중되어 있다. 그의 문학관은 ‘상아탑 정신’에서 잘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그가 대학에서 수학한 매슈 아놀드(Anold, M)의 비평관과 동양적 지성의 양심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현대를 과학의 시대, 산문의 시대로 보는 그는 해방된 현실에서 새로운 조선문화건설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문학을 통해서 역사적 현실과 인민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태도를 그의 비평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의 평론으로는 「임화론」(상아탑 3∼4, 1946.1.)·「시를 위한 시-정지용론」(상아탑 5, 1946.3.)·「소시민의 문학-유진오론」(상아탑 6, 1946.3.)·「탁류의 음악-오장환론」(민성 6, 1946.5.)·「금단의 과실-김기림론」(신문학 3, 1946.8.)·「순수의 정체-김동리론」(신천지 21, 1947.11.) 등이 있다.

김동석의 비평 활동이 조선문학가동맹의 진보적인 민족문화의 논리와 연결되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김동리와 펼친 순수논쟁을 통해서였다. 김동석은 「순수의 정체」에서 김동리의 순수문학을 비판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의 진보에 대한 신념과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적극 옹호하며 문학의 시류적인 정치성을 특유의 비유와 논리로 비판해 나간다.

1949년에 발간된 평론집 『부르조아의 인간상』은 『예술과 생활』(1947)과 함께 김동석의 광복 후에 발표된 비평들을 모은 대표적인 업적이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순수의 정체’, ‘생활과 비평’, ‘고민하는 지성’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1부 ‘순수의 정체’는 김동리(金東里)를 비롯하여 안회남(安懷南)·이광수(李光洙)·김광균(金光均) 등에 대한 작가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2부 ‘생활과 비평’은 매슈 아놀드의 비평과 셰익스피어(Shakespeare, W.)에 대한 연구논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3부 ‘고민하는 지성’은 사르트르(Sártre, J. P.)의 실존주의에 대한 비평과 다수의 짧은 소론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밖에 시집으로 『길』(1946)·『해변의 시』(1946)가 있다.

참고문헌

『해방기 문학비평연구』(송희복, 문학과지성사, 1993)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연구』(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역사 앞에 순수했던 양심적 지식인의 삶과 문학-김동석론」(이현식, 『황해문화』, 1994. 여름.)
「해방기 민족문학론 연구」(하정일,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2)
「시적 동일성과 거리」(채수영, 『시문학』, 1990.3.∼4.)
「무식의 폭로: 김동석의 ‘김동리론’을 박함」(조연현, 『구국』, 1948.1.)
「순수의 위치: 김동석론」(조연현, 『예술부락』, 194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