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행 ()

지암집
지암집
유교
인물
조선후기 직제학, 이조참의, 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자정(子靜)
지암(止菴), 여호(驪湖)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5년(숙종 41)
사망 연도
1779년(정조 3)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서울 정동
주요 관직
직제학|이조참의|형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직제학, 이조참의, 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정(子靜). 호는 지암(止菴) 또는 여호(驪湖). 서울 정동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참판에 추증된 김신겸(金信謙)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좌의정 이이명(李頤命)의 딸이다.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연구에 전념하여 성리학을 비롯해 예학과 역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이간(李柬)의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에 동조한 김창흡(金昌翕)의 영향을 받아 낙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

1754년(영조 30)에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 이듬 해 부수(副率)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1758년에는 학행으로 천거되어 사간원정언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부임하지 않았다.

그 뒤 시강원자의(侍講院諮議)·사옹원주부·사헌부지평·장령·집의·성균관사업(成均館司業)·호조참의·예조참의·경연관·공조참의에 임용되었으나, 상소하여 사직했다. 그 뒤 직제학을 거쳐 이조참의에 이르렀으며, 정조 때 형조참판을 지냈다.

이우신(李友信)·민치복(閔致福)·박준원(朴準源) 등의 많은 학자들이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저서로는 『지암문집(止菴文集)』 9권이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지암문집(止菴文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