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준 ()

사회구조
인물
한국의 첫 신문학 박사로, 성균관대학교 학장과 조선대학교 문리학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회학개론』 등을 저술한 사회철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고종 35)
사망 연도
1950년
출생지
전라남도 영암
목차
정의
한국의 첫 신문학 박사로, 성균관대학교 학장과 조선대학교 문리학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회학개론』 등을 저술한 사회철학자.
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남도 영암 출생. 도쿄 유학시절 1919년의 2·8독립선언에 즈음하여 김도연(金度演)·김안식(金安植)·최원순(崔元淳)·정광호(鄭光好) 등과 회합하여 독립운동을 일으켜야 할 때임을 재일유학생사회에 주창하였다. 이윽고 거사자금 조달을 위하여 김안식과 서둘러 귀국하였으나 뜻한바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듬해 일제의 식민정책 완화조처의 일환으로 『조선일보』·『동아일보』·『시대일보』 등 세 종류의 민간신문이 창간되자 신문학 연구에 몰두할 선구적인 뜻을 세우고 독일 라이프치히대학에 유학하였다. 그 대학에서 뷔허(Bucher,K.)가 창설한 신문연구소에서 신문학 강좌를 수강하는 한편, 에베르트(Everth,E.)의 지도 아래 연구에 정진했다.

1928년 「동아시아(한국·중국·일본)에 있어서 근대신문의 생성발전에 관한 연구」로 학위논문이 통과되어 한국인으로서는 첫 신문학박사가 되었다. 이 논문은 한·중·일 3국의 주요 신문에 대한 생성과 전개를 연구한 비교신문사(比較新聞史)의 최초 작업으로 공인되었다.

귀국한 후에는 『동광(東光)』 제34호에 국내언론계에 대한 제언으로 ‘학술적 전문잡지가 필요’를 발표하였고, 1932년 신문간행의 이론적 학술화를 열망하는 충정을 보였으며, 『신동아(新東亞)』를 통하여 ‘시위운동과 군중심리’(1931)·‘투서(鬪暑)와 봉사로써’(1934)·‘현대사회사상의 동향’(1935) 등의 기고로 사회현상의 해명에 학구적인 입장을 보여주었다.

사회철학자로서 광복 전까지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에 출강하였고, 광복 직후 성균관대학 학장과 전주사범학교 교장을 거쳐 조선대학 문리학부장으로 재임 중 좌익계의 저격으로 사망하였다. 사회철학이론 정립의 저서로 1950년 대성출판사에서 간행한 『사회학개론』이 있다.

참고문헌

『언론과 역사』(임근수, 정음사, 1984)
『한국언론사연구』(정진석, 일조각, 1983)
『항일학생운동사연구』(정세현, 일지사, 1975)
집필자
임중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