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흔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산정도감판관, 동판밀직사사, 지도첨의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이칭
상락공(上洛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51년(고종 38)
사망 연도
1309년(충선왕 1)
주요 관직
산정도감판관|동판밀직사사|지도첨의사사
관련 사건
삼별초의 난|합단의 침입
정의
고려후기 산정도감판관, 동판밀직사사, 지도첨의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아버지는 명장이며 명재상이었던 김방경(金方慶)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서(蔭敍)로 산정도감판관(刪定都監判官)을 거쳐 장군이 되었다. 1272년(원종 13) 아버지를 따라 탐라에서 삼별초를 토벌하고 대장군이 된 뒤, 곧 사재경(司宰卿)에 올랐다.

1274년 일본 원정 때, 지병마사(知兵馬事)로 참가하였고, 진주목사를 지냈다. 1277년(충렬왕 3) 북쪽 변방이 소란해지자 출정하였고, 1278년 아버지가 무고를 입어 대청도(大靑島)로 유배될 때, 백령도에 유배되었다가 충렬왕의 변호로 풀려났다.

1279년(충렬왕 5) 대방공(帶方公) 왕징(王澂)이 원나라에 갈 때, 원부(元傅)의 아들 원정(元貞) 등 의관(衣官) 자제 25인과 함께 뚤루게[禿魯花: 볼모]로 다녀왔다. 1282년에도 상장군(上將軍)으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원나라에 있을 때 고려인 유주(庾賙)가 원나라 세조에게 고려에 이롭지 못한 일을 건의하자, “너는 유금필(庾黔弼)과 유자량(庾資諒)의 후손이 아니냐? 그런데 본국을 이 같이 파괴하려 하느냐.”고 비난하였다.

1286년 지신사(知申事)로서 삼사사(三司事)가 되었고, 이듬해 동판밀직사사(同判密直司事)가 되었다. 1289년 만호(萬戶)로서 조정군(助征軍)을 이끌고 요양행성(遼陽行省)에 갔으며, 동계(東界) 방수군(防戍軍)을 조사하고 합단(合丹)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290년(충렬왕 16) 합단이 쳐들어오자, 충청도 연기(燕岐) 부근에서 격파하고, 죽전(竹田)에 이르러 나머지 적들을 소탕하였다. 그 공으로 1291년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고, 원나라로부터 궁시(弓矢)·안(鞍)·옥대(玉帶) 등을 상으로 받았다. 이어1292년에 판삼사사(判三司事)로, 1295년에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에 각각 임명되었다.

1299년에 승려 일영(日英)이 한희유(韓希愈)가 모반을 꾀한다고 무고하자, 인후(印侯)와 함께 이를 제거하기 위해 원나라에 갔다. 그러나 마침 원나라에 갔던 충렬왕이 무고임을 밝혀 한희유가 무사히 귀국해 중용되자 귀국하지 않았다. 한희유가 죽자 연경에서 7년 만에 돌아와, 1307년에 자의도첨의사사 찬성사(咨議都僉議司事 贊成事)가 되었다.

충선왕이 즉위해 이르기를, “대덕(大德) 3년(1299)에 본국의 무뢰한 무리가 장차 난을 꾀하려고 하자, 김흔이 만호 인후와 함께 먼저 알고 난을 진정하였으니, 그 공을 생각해 특별히 서용(敍用)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아버지를 이어 상락공(上洛公)에 습봉(襲封)되었다. 성품이 활달하면서도 인자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문수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