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사 주자갈필 목판 ( )

목차
관련 정보
강진 남강사 주자갈필 목판
강진 남강사 주자갈필 목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강진의 남강사 어필각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진남강사주자갈필목판일괄(康津南康祠朱子葛筆木版一括)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7년 06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강진읍 향교로 128-2 (교촌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강진의 남강사 어필각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
개설

1987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목판은 모두 43판으로 ‘대우수전’ 6판, ‘경재잠’ 26판, 기타 11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우수전 6판 중 4판은 구판이며, 2판은 1904년에 본떠 새긴 것으로 가로 55.5㎝, 세로 29.5㎝, 두께는 5㎝이다. 경재잠 26판 중 구판은 10판으로 1809년에, 나머지 16판은 1904년에 본떠 새긴 것으로 가로 20㎝, 세로 94㎝, 두께 20㎝이다. 기타 11판은 내용파악이 불가능한 상태로 남아있다.

내용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교촌리의 남강사는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추모하기 위하여 1803년(순조 3)에 백련사에 건립된 영당을 그 전신으로 한다. 송시열이 기사환국으로 1689년(숙종 15)에 제주도로 유배를 가던 중 폭풍으로 성자포(남포)에서 배를 못타고 인근 백련사에 머물면서 강론하여 ‘종강지지(終講之地)’가 된 것이 이 서원의 건립배경이다. 1838년(헌종 4)에 주자상(朱子像)을 정향하고 송시열을 배향하였다.

강진남강사주자갈필목판은 남강사에 소장되어 있는데, 1809년 우암이 제주도로 유배갈 때의 승선지인 성자포 앞바다에 떠밀려 온 나무궤 안에 있던 ‘주자경재잠목판(朱子敬齋箴木板)’ 20매와 ‘대우수전(大禹手篆)’ 8매를 기본으로 한다. 당시 강진현감이 이를 감영에 보고하고 감영으로 옮기던 중 수송 인마(人馬)가 남강사 앞에서 전복되자, 하늘의 뜻이라 하여 목판을 사당에 소장하게 하였다. 1844년(헌종 10) 광주(光州)목사 조철영(趙撤永)이 쓴 「대우전주자필경재잠판기(大禹篆朱子筆敬齋箴板記)」을 보면 “명(明)이 망하고 중원이 혼란해지자 뜻있는 선비들이 성현의 수적(手蹟)이 오랑캐의 무리들에게 더럽혀질까 염려하여 궤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으나 남만제도(南蠻諸島)로 가지 않고 우리나라로 왔으니 이는 필시 신명의 보살핌이라”고 적고 있다.

현재 보존된 목판은 성자포에 표착된 원판 중 일부를 개판한 것으로, 1809년 표착한 ‘대우수전’과 ‘경재잠’은 9판이 소실되었고, 1844년에 조철영이 탑본모각(榻本模刻)하였으나 훼철 뒤 훼손되어 1904년 다시 모각하여 총 43판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남강원지』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8)
『전남서원의 목판』(전남대학교 문헌정보연구소, 1998)
『남강서원 조사보고서』(이해준·김지민, 1987년 도지정문화재조사보고서 1, 전라남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