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 목은선생 문집판 ( · )

출판
유물
문화재
고려 후기의 학자 가정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의 시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학자 가정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의 시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내용

이곡과 이색은 부자 사이로 고려말의 거유(巨儒)로서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모두 고려와 원(元)나라 문과에 급제한 명현이다.

이곡의 시문집인 『가정집』은 1364년(공민왕 13)에 이색이 편집하고 사위 박상충(朴尙衷)이 금산(錦山)에서 펴냈으나 조선 초에 소실되고, 1422년(세종 4)에 손자 이종선(李種善)이 두 번째로 펴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635년(인조 13) 후손 이기조(李基祚)가 경상감사 때 대구에서 세 번째로 펴냈으나 뒤에 멸실되어 1662년(현종 3) 후손 이태연(李泰淵)이 20권 4책을 전라감사 때 전주에서 네 번째로 펴낸 문집판이 지금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소장본이다.

이색의 『목은집』은 셋째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편수(編修)하여 1404년(태종 4)에 70권을 펴냈으나 1417년 국내 요참(妖讖)의 문적을 없앤다고 할 때 함께 피해를 보았는데, 1626년(인조 4) 8대손 이덕수(李德洙)가 순천현감 때 삭제된 부분을 교정하고 새로 찾아낸 자료를 보완하여 55권 25책으로 다시 펴냈다.

처음에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의 고촌서원(枯村書院)에 두었는데, 현재는 기산면 영모리의 문헌서원으로 옮겨 장판각을 지어 보관하고 있다. 1978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975매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곡과 이색은 고려말 사대부로 명망이 높기 때문에 조선초기부터 문집 간행이 이루어졌다. 따라서『가정집』과 『목은집』의 목판은 유학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목판의 내용이 고려 말의 사회상을 충실히 담고 있어서 사료가 부족한 고려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원전

『문헌서원지(文獻書院誌)』

단행본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96)
『가정집(稼亭集)』 (李穀,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목은고(牧隱藁)』 (李穡,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집필자
김효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