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소리 (소리)

목차
국악
개념
전라도 · 경상도 · 충청도 일부 지방의 민간에서 불리는 민속성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도 · 경상도 · 충청도 일부 지방의 민간에서 불리는 민속성악.
내용

판소리를 주축으로 하여 단가 · 민요 · 잡가 중 선소리인 산타령과 일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등을 모두 포함한다.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 엇모리 등의 장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음계 구성은 거의가 다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으로 된 3음의 계면조이다.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의하면 순서대로 ‘미 · 라 · 시’가 된다. 남도악(南道樂)이라 하면 산조와 시나위 등의 기악까지를 포함하는데, 이들 기악도 계면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음악은 흔히 시나위음악권으로 남도의 무악(巫樂)이나 무가(巫歌)에서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 가운데 판소리는 남도에서 발생한 극적인 성악곡으로 우리나라의 민속음악 중 가장 예술성이 깊은 것으로 모두 열 두 마당 중 다섯 마당이 불리고 있다. 단가는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해 중모리나 중중모리의 중간 한배(빠르기)로 담담하게 부른다.

남도민요는 우리나라의 민요 중 가장 풍부하며 음악적으로도 뛰어나다. 민요의 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중모리 · 중중모리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와 자진모리가 쓰이기도 한다. 창법은 극적이고 굵은 목을 눌러 내는 소리를 쓰고 있다. 선소리는 경기선소리를 본뜬 것으로, 남도계면조로 된 것도 있지만 경기선소리의 선법을 따르고 있다.

이 지역은 토속민요인 노동요 또한 풍부하여 어업요 · 농요 등에서 수적 · 질적으로 뛰어난 것이 많다. 판소리는 다섯 마당의 대부분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민요 가운데에는 「강강술래」가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고, 그 예능보유자는 김길임(金吉任) · 박용순(朴龍順) 등이다. 노동요에서는 진도의 「남도들노래」가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논고(韓國音樂論攷)』(성경린, 동화출판공사, 1976)
『국악총론(國樂總論)』(장사훈, 정음사(正音社), 1976)
『문예총감(文藝總鑑)』(한국문화예술진흥원(韓國文化藝術振興院),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