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소리 (소리)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민간에서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린 모든 민속성악.
목차
정의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민간에서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린 모든 민속성악.
내용

직업적인 주1에 의해 불렸고, 민요선소리 · 주2잡가(雜歌)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경기소리라고 하나 주로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연행된 소리에 해당한다.

민요에는 최근에 이루어진 속요(俗謠)와 선소리 · 무가(巫歌)에서 온 곡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개 맑고 깨끗하고, 경쾌하고 분명한 창법을 가지고 있다. 선율은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이다.

장단은 주로 주3굿거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빠른 한배로 부른다. 음조직은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대개 솔 · 라 · 도 · 레 · 미의 5음으로 된 평조로 되어 있으나, 마지막의 ‘미’ 음은 ‘파’ 음과 혼동될 정도로 음이 조금 높다.

선율에는 장 · 단 3도의 진행이 많고, 위의 5음이 두루 다 쓰인다. 이와 같은 선법은 흔히 경조(京調) 혹은 경제(京制) · 경토리라고 부른다.

선소리는 서서 부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주4이 여기에 속한다. 선소리는 원래 사당패의 소리였으나 지금은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리고 있다. 형식은 통절형식(通節形式)으로 되어 있고, 대개 일정한 장단이 없다.

소고를 치며 추는 발림춤은 점점 빨라지며 전체적으로 씩씩한 맛을 주고 있다. 주로 남창으로 불리며 주5 · 주6 · 주7 · 주8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선소리는 선소리의 원형으로 서도 · 남도 선소리는 경기선소리를 배워 옮겨 간 것이다. 예전에는 유명한 뚝섬패 · 과천패 등 여러 소리패가 있었으나 지금은 선소리를 아는 이가 그렇게 많지 않다.

앉은소리는 속가(俗歌)의 한 갈래인 잡가를 말한다. 종류에는 12잡가와 휘모리잡가가 있다. 12잡가는 지금의 서울 청파동과 만리동 일대의 사계축(四契軸) 소리꾼들에 의해 불려 왔고, 휘모리잡가는 천민들에 의한 소리로 더벅머리 삼패기생(三牌妓生)의 소릿조였다.

12잡가는 원래의 「유산가(遊山歌)」 · 「적벽가(赤壁歌)」 등 8곡의 잡가에다 뒤에 12가사를 본떠 「달거리」 · 「십장가(十杖歌)」 등 4곡의 잡가를 더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음악형식은 불분명한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되어 있고, 대개 도드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선법은 서도민요의 선법과 비슷한 것이 대부분이고, 경기민요의 경조선법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음악의 형태는 12가사와 비슷하며, 노랫말은 서민들의 언어로 희로애락을 직접 표현하고 있어 12가사의 점잖은 내용과는 다르다. 창법은 굵고 힘찬 폭넓은 요성을 쓰고 있다.

휘모리잡가는 재미있는 노랫말을 대화체의 빠른 한배로 부르며, 대개 볶는타령장단으로 되어 있다. 시조의 변형으로 사설시조에 넣기도 한다. 현재 불리고 있는 곡은 「곰보타령」 · 「생매잡아」 · 「한잔부어라」 · 「맹꽁이타령」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경기소리 중 민요는 197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선소리산타령은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휘모리잡가는 서울시와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선소리산타령」(장사훈·성경린,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30, 문화재관리국, 1966)
『문예총감』(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편-(문화재관리국, 1978)
주석
주1

판소리나 잡가 따위를 아주 잘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2

잡가에서, 앉아서 부르는 방식. 또는 그렇게 부르는 소리. 우리말샘

주3

보통 빠른 4분의6 박자 또는 8분의9 박자의 국악 장단의 하나. 우리말샘

주4

선소리의 하나. 앞산 타령과 뒷산 타령의 두 종류가 있고, 경기와 서도의 두 형식이 있으며, 약동적이고 경쾌한 소리 가락이다. 우리말샘

주5

경기 산타령 가운데 첫째 곡. 처음은 별 의미 없는 입타령으로 이어지는 통절 형식으로, 일정한 장단이 없이 느리면서 넓은 음폭에 높은 소리와 가성(假聲)을 많이 쓴다. 우리말샘

주6

경기 지방에서 부르는 산타령의 하나. 관악산, 삼각산, 태백산, 지리산 따위를 가사에 넣어 부르며, 일정한 장단이 없고 높은음을 많이 쓴다. 우리말샘

주7

경기 지방 산타령의 하나. 서울 뒤쪽에 있는 금강산, 계명산, 삼각산, 수락산, 백두산, 소요산 따위를 가사에 넣어 부르는데, 곡은 앞산 타령과 비슷하나 더 빠르다. 우리말샘

주8

경기 입창(立唱)의 하나인 ‘도라지 타령’의 다른 이름. 우리말샘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