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드리장단 (도드리)

목차
국악
개념
정악과 민속악에서 쓰이는 18/8 또는 6/4박자의 장단.
목차
정의
정악과 민속악에서 쓰이는 18/8 또는 6/4박자의 장단.
내용

용도에 따라서 조금씩 변한다. 대개 3소박의 보통빠른 6박자인데 서양음악식으로 표기하면 8분의 18박자가 되며, 빠른 경우 2소박이 여섯 모인 4분의 6박자가 되기도 한다.

「영산회상」가운데 도드리류의 곡들에서는 보통빠른 8분의 18박자 혹은 4분의 6박자로 쓰이고, 삼현육각(三絃六角)의 「긴염불」에서는 느린 8분의 18박자로 쓰인다. 「염불도드리」·「반염불」에서는 빠른 8분의 18박자로, 「자진삼현도드리」·「볶는염불」에서는 빠른 8분의 18박자 혹은 4분의 6박자로 쓰인다.

가사(歌詞)의 「춘면곡(春眠曲)」·「죽지사(竹枝詞)」·「어부사(漁夫詞)」·「황계사(黃鷄詞)」·「길군악(路軍樂)」·「수양산가(首陽山歌)」·「매화가(梅花歌)」와 경기잡가에서는 조금 느린 8분의 18박자로 사용된다.

삼현육각에 의한 「삼현도드리」는 「처용무(處容舞)」·「포구락(抛毬樂)」·「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과 같은 궁중무용과 경기도 무속무용의 반주에도 쓰인다.

한편, 판소리의 엇중모리장단도 2소박의 6박자로서 보통빠른 도드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 장단으로 된 음악은 장중하고 완만하며 꿋꿋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6)
「삼현육각」(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4-음악-, 1983)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