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용환 ()

국악
인물
대한제국기 때, 이날치의 제자로 김창환 협률사에서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5년(고종 2)
사망 연도
1938년
출생지
전라남도 무안
정의
대한제국기 때, 이날치의 제자로 김창환 협률사에서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개설

전라남도 무안 출신.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태홍(太弘)의 아버지이며 판소리명창인 남중(南中)의 작은아버지이다. 이날치(李捺致)로부터 판소리를 배워 명창이 되었고 서편제소리를 하였는데 계면조를 주장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풍채도 좋고 학식도 있고 판소리도 잘하여 귀재라는 말을 들었다. 1900년에 상경하여 광무대협률사(光武臺協律社)의 공연에 참가하여 「춘향가」중 옥중가를 잘 불러 이름을 떨쳤다. 특히, 창극을 창안하여 김창환(金昌煥)과 함께 원각사(圓覺社) 창극운동에 주역을 담당하였다.

「심청가」및「춘향가」를 창극화하였고, 최초의 본격적인 창극으로 알려진 「최병두타령」을 창극화하여 인기를 끌었다.

후에 김창환협률사(金昌煥協律社)에 참가하였고 창극 「춘향가」에는 판소리 「춘향가」에 없는 ‘어사(御史)와 초동(樵童)’을 창작하였고, 「변강쇠타령」도 창극화하여 공연하였다. 1912년광주협률사(光州協律社)가 창립되자 「춘향가」을 연출, 지도하였다.

말년에는 향리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춘향가」·「적벽가」를 잘하였고, 특히 「적벽가」에 뛰어났다. 그의 문하에서 전일도(全一道)·박종원(朴宗元)·신용주(申用柱)와 같은 명창이 배출되었다.

참고문헌

『창극사연구』(박황, 백록출판사, 1976)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