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로전신선 ()

목차
통신
개념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
목차
정의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
내용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선로는 1885년 9월 28일 개통된 한성∼제물포(지금의 인천)간의 전신선이다.

이 전신선은 청나라의 주도 아래 가설되었고 한성전보총국이라는 청나라의 기구에 의하여 운영되었으나, 남로전신선은 1887년 3월 13일 창설된 한성전보총국과는 별도의 기구인 조선전보총국의 주관하에 독자적으로 가설되었다.

남로전신선의 가설을 둘러싸고 한때 일본과의 격렬한 외교적 마찰이 있어 마치 일본의 강요에 의하여 이루어진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하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부산은 남부의 요지로 우리 정부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전신가설을 생각하였으며, 선로를 계획할 당초에는 최단거리를 택하여 충주·대구를 거쳐 부산에 이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 착공에 있어서는 행정연락을 고려하여 난공사를 감수하면서까지 충청감영의 소재지인 공주와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를 경유하여 대구를 거쳐 부산에 이르는 우회선로를 택한 것으로 보아 우리의 독자적인 효용에 의하여 가설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설공사의 초기에는 덴마크인 뮐렌스테드(Muhlensteth,H.J.)와 영국인 헬리팩스(Helifax,T.E.)라는 서양인이 기술자로 참여하기는 하였으나, 전 공사를 우리의 기술진이 시공하여 뒷날 초창기 전기통신사업에 있어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남로전신의 가설은 1885년 서로전신선이 준공된 이후 곧바로 계획되어 처음에는 청나라의 한성전보총국에서 대설하도록 조약을 체결하였으나, 조약체결 1년이 지나도록 진척이 없어 1887년에 우리 정부에서는 자주적인 가설로 방침을 바꾸고, 전신기기와 물료의 구입 및 기술자 확보 등을 자체의 힘으로 해결하여 가설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1887년 2월 26일 당시 인천에 있던 독일상사인 세창양행에 주문하였던 3만 4,150원 상당의 전선 및 전신물료가 도착하지 않아 공사의 착공이 늦어졌다. 그 뒤 1888년에 필요한 물료가 도착하기 시작하여 그 해 3월 6일에는 한성에서, 3월 18일에는 부산에서 각각 공사가 착공되어 같은 해 5월 27일 준공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승정원일기』
『통기(統記)』
『한국전기통신100년사』(체신부,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