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몽뢰 ()

이계집의 표지
이계집의 표지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정랑, 진주목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게문집』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중준(仲遵)
이계(伊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0년(광해군 12)
사망 연도
1681년(숙종 7)
본관
영양(英陽)
출생지
경상도 의성현 신촌리
주요 관직
예조정랑|진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정랑, 진주목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게문집』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중준(仲遵). 호는 이계(伊溪). 경상도 의성현 신촌리(新村里)[현 경상북도 점곡면 동변리 월촌(月村)]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통사랑(通仕郞) 남해준(南海準),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 권지(權誌)의 딸이다. 어려서 문장을 조달하여 문명이 있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42년(인조 20) 사마시에 합격하고, 1651년(효종 2)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에 기용되고, 이어서 연원도찰방(連原道察訪)을 거쳐 예조정랑(禮曺正郞)이 되었다. 1655년 김성일(金誠一)의 시호(諡號)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뒤에 고성(固城)과 임실(任實)의 군수를 역임하면서 고을 수령으로 저질러서는 안될 일들을 모아 「거관불망기(居官不忘記)」를 지어 자신과 후임 관리들을 훈계하였다. 백성의 부세를 경감하고 농사를 권장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1666년(현종 7) 진주목사(晉州牧使)가 되었으나 예제(禮制)의 개혁을 상언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당해 파직되었다.

그 뒤 이계정사(伊溪精舍)를 지어서 후진을 교육하였다. 특히, 사학(史學)에 밝아 국조 이후 당시까지 역사적인 사실을 「동국통감부(東國通鑑賦)」와 「동국소승(東國小乘)」을 지어서 밝히고, 「기해예송전말(己亥禮訟顚末)」을 지어 숙종 초에 있었던 예론 시비의 근원을 밝혔다.

죽은 뒤 9년 만에 예제가 자기의 주장대로 고쳐지자 손자 남윤주(南胤胄)가 상언하여 복관되었다. 저서로는 『이계문집(伊溪文集)』 10권이 있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이계문집(伊溪文集)』
『인조실록(仁祖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