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고사절목 ()

목차
관련 정보
내각고사
내각고사
조선시대사
문헌
1781년(정조 5)에 규장각의 전례와 각신들이 지켜야 할 규례를 적은 절목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이다.
목차
정의
1781년(정조 5)에 규장각의 전례와 각신들이 지켜야 할 규례를 적은 절목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이다.
내용

1책. 개주갑인자본(改鑄甲寅字本).

내용은 작성경위를 밝힌 본문과 절목 34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에서 당나라·송나라의 고사와 조선시대의 구례(舊例)를 참고하여 각중(閣中)에서 시행할 예절과 격례를 분류, 작성한 뒤 왕의 재가를 받았음을 밝혔다.

절목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숙배(肅拜), 기거(起居), 표직(豹直 : 관원의 숙직), 직각(直閣), 대교(待敎), 유고(有故) 때의 대리근무, 고공계목(考功啓目)의 작성, 유사당상(有司堂上), 장무관(掌務官), 일기, 전도(前導), 입직(入直)할 때의 복장, 상견의(相見儀), 포폄좌차(褒貶座次), 공회(公會), 검서관의 배알, 신제례(新祭禮), 양로피마(讓老避馬: 노인에게 양보하여 말을 피함), 선생예우, 시임과 원임의 좌석 순서 등에 관하여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특히, 숙배와 기거는 송나라 때 용도각학사(龍圖閣學士)의 예를 따르도록 하였으며, 표직은 홍문관 예에 준하도록 하고 있어, 이 절목은 중국의 예까지 상세히 고찰하여 모범적인 관원의 근무규정으로 제정하였음을 보여준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