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고단 ()

지리산 노고단
지리산 노고단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에 걸쳐 있는 산 봉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에 걸쳐 있는 산 봉우리.
개설

노고단은 높이 1,507m이고, 지리산국립공원 안에 있으며, 지리산지의 동서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능선의 서부를 이루는 봉우리이다.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과 더불어 3대 주봉이라고 하며, 지리산은 3대 주봉을 중심으로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남서쪽의 화엄사계곡을 따라 급경사로 된 코재(1,250m)에 오르면 노고단의 북서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주능선이 나타난다. 노고단이 포함된 지리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넓은 면적의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명칭 유래

노고단이라는 지명은 할미당에서 유래한 것으로 ‘할미’는 도교(道敎)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述聖母) 또는 선도성모(仙桃聖母)를 일컫는다. 통일 신라 시대까지 지리산의 최고봉 천왕봉 기슭에 ‘할미’에게 산제를 드렸던 할미당이 있었는데, 고려 시대에 이곳으로 옮겨져 지명이 한자어인 노고단으로 된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노고단 위치에서 서쪽으로 2㎞ 지점에 있는 종석대(鍾石臺, 1,361m) 기슭으로 할미당을 옮겨 산제를 드렸다.

자연환경

동부의 천왕봉(天王峰, 1,915m)까지 45㎞에 이르는 주능선에는 반야봉(1,732m) · 토끼봉(1,538m) · 명선봉(1,586m) · 덕평봉(1,538m) · 영신봉(1,690m) · 촛대봉(1,713m) · 연하봉(1,710m) · 제석봉(1,806m) 등 높이 1,500m 이상의 높은 봉들이 분포한다.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이거나 화강편마암이고, 토양은 북서부의 완경사지가 20여㎝ 두께의 부식질양토이며 산허리와 산꼭대기 부분은 암쇄토이다. 완경사지는 억새와 원추리꽃으로 덮인 초원인 데 반하여 산허리와 산꼭대기에는 철쭉 · 진달래 등의 관목이 자란다.

형성 및 변천

노고단 주위의 봉우리들은 능선에서 약 200m 내외의 저기복(低起伏)을 나타내는 완경사면인데, 중생대 백악기말에 침식면이 형성된 뒤 신생대 제3기 중신세에 이르러 융기하여 현재와 같은 고도를 가지게 된 고위침식면(高位浸蝕面)이라는 설명과, 과거 한랭기 때의 주빙하환경(周氷河環境)에서 지형형성작용을 받은 평정봉(平頂峰)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현황

지리산 등산로 중 노고단은 심원계곡과 화엄사계곡을 통한 서쪽 입구가 되며, 노고단산장은 등산객의 휴식처 및 숙박 장소가 된다. 서남향의 안부에 위치하는 노고단 제1·2산장 주변은 약 4천여 평에 이르는 거의 평지에 가까운 지형으로, 옛날 외국인 선교사들의 별장을 50여 채나 지었던 곳이다. 산장들은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산자락 끝에는 554년(백제 성왕 22)에 연기 조사가 창건한 화엄사가 자리하고 있다. 화엄사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시도지정유산 2점 등 많은 국가유산과 20여 동의 부속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노고단에서 바라보는 구름바다는 지리산의 가장 아름다운 경관 중 하나이다. 노고단 남서쪽의 구례군 광의면과 북서쪽인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사이의 도로가 확장 · 포장되어 있고 이 도로에서 노고단까지의 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이 양호하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노고단, 화엄계곡 자연학습탐방로에서 자연해설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 산행을 원하면 화엄사에서 노고단을 올라 성삼대로 내려와 버스를 타고 이동하거나, 성삼재까지 버스를 타고 올라 노고단에서 화엄사로 내려올 수 있다.

참고문헌

『구례군지』상·중·하(구례군지편찬위원회, 2005)
『국립공원백서』(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한국의 발견·전라남도편·』(뿌리깊은나무사, 1983)
『지리산지역개발(智異山地域開發)에 관(關)한 조사보고서(調査報告書)』(지리산지역개발조사연구위원회, 1963)
「지리산지(智異山地) 주능선(主稜線) 동부(東部)의 주빙하지형(周氷河地形)」(장호, 『지리학』27,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