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견난사 ()

목차
관련 정보
능견난사
능견난사
불교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소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놋그릇.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능견난사(能見難思)
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1월 29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소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놋그릇.
내용

12∼13세기 중국 금나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197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직경 16.7cm, 높이 4.7cm, 두께 0.1cm의 원형인 그릇으로 가볍고 굽이 없다.

고려 때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국 금나라에 들어가 병든 황제의 쾌유를 빌기 위하여 기도할 때 쓰던 청동제의 바루[鉢盂]로 원래는 500점이었다고 한다.

홍석주(洪奭周)의 《연천옹유산록 淵泉翁遊山錄》에 의하면 1828년에 와서는 50점으로 줄어 들었다가, 오늘날에는 30점만이 모두 녹이 슬고 금이 간 채로 남아 있다. 이 그릇들은 보조국사가 황제에게서 직접 하사받은 물건들 가운데 일부로서 부처님께 공양할 때 쓰던 것이라고 한다.

금명(錦溟)보정선사(寶鼎禪師)가 편찬한 《백열록 栢悅錄》에 의하면, 이 500개가 한꺼번에 포개지는데, 이 때 겉 그릇은 안 그릇을 속으로 겹쳐 들이지만 그보다 크지 않고, 안 그릇은 속으로 들어가 밖의 것과 합해지지만 그보다 작지 않을 정도로 그 크기가 서로 차이나지 않으며 안팎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니 형제 관계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고 대소 관계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어서 매우 찾아보기 어려운 물건이라 하였다.

이를 두고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것들을 볼 수는 있지만 헤아리기는 어렵다고 하였으나 사실은 작은 유기 소반일 뿐이라고 적고 있다.

송광사 사적에는 조선 숙종이 이들 그릇을 감상한 뒤에 그 가공 기교의 뛰어남에 감탄하여 이름을 ‘능견난사’라 붙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참고문헌

『순천조계산송광사사적』
『연천옹유산록』(홍석주, 1828)
『조계산송광사사고』-한국사지총서제이집-(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77)
『한국불교전서』-제12책-(동국대학교 출판부, 199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