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견난사 ()

목차
관련 정보
능견난사
능견난사
불교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소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놋그릇.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소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놋그릇.
내용

12∼13세기 중국 금나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197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직경 16.7cm, 높이 4.7cm, 두께 0.1cm의 원형인 그릇으로 가볍고 굽이 없다.

고려 때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국 금나라에 들어가 병든 황제의 쾌유를 빌기 위하여 기도할 때 쓰던 청동제의 바루[鉢盂]로 원래는 500점이었다고 한다.

홍석주(洪奭周)의 《연천옹유산록 淵泉翁遊山錄》에 의하면 1828년에 와서는 50점으로 줄어 들었다가, 오늘날에는 30점만이 모두 녹이 슬고 금이 간 채로 남아 있다. 이 그릇들은 보조국사가 황제에게서 직접 하사받은 물건들 가운데 일부로서 부처님께 공양할 때 쓰던 것이라고 한다.

금명(錦溟)보정선사(寶鼎禪師)가 편찬한 《백열록 栢悅錄》에 의하면, 이 500개가 한꺼번에 포개지는데, 이 때 겉 그릇은 안 그릇을 속으로 겹쳐 들이지만 그보다 크지 않고, 안 그릇은 속으로 들어가 밖의 것과 합해지지만 그보다 작지 않을 정도로 그 크기가 서로 차이나지 않으며 안팎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니 형제 관계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고 대소 관계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어서 매우 찾아보기 어려운 물건이라 하였다.

이를 두고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것들을 볼 수는 있지만 헤아리기는 어렵다고 하였으나 사실은 작은 유기 소반일 뿐이라고 적고 있다.

송광사 사적에는 조선 숙종이 이들 그릇을 감상한 뒤에 그 가공 기교의 뛰어남에 감탄하여 이름을 ‘능견난사’라 붙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참고문헌

『순천조계산송광사사적』
『연천옹유산록』(홍석주, 1828)
『조계산송광사사고』-한국사지총서제이집-(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77)
『한국불교전서』-제12책-(동국대학교 출판부, 199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