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산성 ()

목차
관련 정보
대덕산성
대덕산성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남구 대덕산(大德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된 포곡식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덕산(大德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된 포곡식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
내용

1988년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표고 670m의 험준한 대덕산에 축성된 포곡식 산성(包谷式 : 계곡과 산정을 함께 두른 산성)이다. 대구의 진산(鎭山)인 대덕산은 동남쪽으로 산성산(山城山)과 비슬산(琵瑟山)으로 연결되고 서북쪽은 낙동강과 금호강의 평야와도 연접된다.

속칭 안지랭이라 부르는 골짜기를 중심으로 석축하였으며 축조수법이 조잡하다. 건물지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고려시대의 기와편 및 토기편이 흩어져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후기에 축성되어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태조왕건(王建)이 파계사(把溪寺) 전투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에게 패하여 반야월을 거쳐 대덕산(大德山) 은적사(隱寂寺)에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나말여초(羅末麗初)에 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산성과 관련되는 기록으로는 《대구읍지》의 “成佛山有古城 今無(성불산유고성 금무)”라고 하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成佛山 古城 在壽城縣 西十里石築 周三千五十一尺 今廢(성불산 고성 재수성현 서10리석축 주3,051척 금폐)”라 한 사실에서 조선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성벽 둘레가 3,051척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대구의 문화유적』-선사·고대(경북대학교박물관, 1990)
『경상북도문화재 지표조사보고서』 (Ⅰ)-대구·달성·경산·칠곡지구-(윤용진, 경북대학교박물관, 198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방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