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창의단 ()

근대사
단체
1908년 호남지역에서 조직되었던 의병진(義兵陣).
정의
1908년 호남지역에서 조직되었던 의병진(義兵陣).
개설

의병장은 전기홍(全基泓)으로 김태원(金泰元) 부대의 남은 의병들을 모아 1908년 8월에 결성되었다.

조직구성

지휘부는 대동의병대장 전기홍, 선봉장 정원집(鄭元執), 중군장 김원범(金元範), 후군장 윤동수(尹東秀), 호군장 박영근(朴永根), 도포장(都炮將) 이범진(李凡振), 척왜장(斥倭將) 임장택(林長澤), 도통장(都統將) 김성채(金性采), 참모장 이봉래(李鳳來), 참모 이영준(李永俊)·김돈(金燉)·김공삼(金公三)·김원국(金元局)·이성화(李聖化) 등으로 구성되었다.

의병진은 김태원 의병진의 남은 병력을 중심으로 인근에서 모병된 농민들과 포수들로 구성되었다. 최전성기인 1908년 8·9월에는 그 수가 300명을 넘었다. 기본 편제는 대장 밑에 선봉, 선봉 밑에 도포, 그 밑에 도십장(都什長)·십장·병 순으로 되어 있었다.

기능과 역할

지휘부를 종사(從士)라 했는데, 종사들은 각기 독립된 의병진을 조직해 반독립적으로 의병투쟁을 전개하면서 상호 보완하며 활동하였다. 전술은 게릴라전이었으며, 화기는 화승총(火繩銃)을 기본 화기로 하고, 천보총(千步銃)·신식총을 사용하였다.

화기와 탄환은 자체에서, 또는 인근 마을 주민 중 기술자에게 의뢰해 생산하거나 일본군과 교전한 뒤 노획하였다. 그 밖에 선교사 또는 일본군 헌병대에서 통역으로 일하는 한국인들로부터 얻기도 하였다.

또, 식량·의복 등은 산에서 채취하거나 사냥으로 조달하기도 했지만 인근 마을주민들로부터 자진해서 제공받았고, 필요시에는 각 마을에 배정해 마을의 부호들로부터 징발하였다.

1908년 7월전라남도 영광 불갑산에서 일본군과 교전해 여러 명을 사살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대치에서 일본군과 교전해 다수를 사살하고 5연발총 5자루, 탄환 650여발 등을 노획하였다.

이어 순창·장성·광주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했으며, 1909년 3월영광에서 일본군을 기습 공격해 기병 3명을 격살하였다. 영광에서 일본군 대부대에 포위되어 탈출한 뒤 같은 해 4월 때를 기다려 군세(軍勢)를 모아 다시 의병투쟁을 하기로 하고 해산되었다.

참고문헌

『항일의병장열전(抗日義兵將列傳)』(김의환, 정음사, 1975)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해산(海山) 전수용(全垂鏞)의 항일투쟁(抗日鬪爭)」(강길원, 『역사학보(歷史學報)』 101, 1984)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