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분자생물학회 ()

과학기술
단체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이칭
이칭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개설

1948년에 ‘대한생화학회’로 창립된 뒤 학문발전의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1995년에 ‘대한 생화학•분자생물학회’로 개명되었으며, 2010년에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분야의 양대 학회였던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1967년 설립)’와 통합하여 ‘생화학분자생물학회’로 재출범하였다.

연원 및 변천

대한의학협회가 재발족한 다음 해인 1948년 6월 15일에 이기령(李基寧) · 송정석(宋正錫) · 이진순(李鎭淳) · 주진순(朱軫淳) · 심봉섭(沈鳳燮) 등 생화학자 20여명이 서울의과대학에서 '대한생화학회'라는 이름으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초대 회장에 이기령을 선출하여 공식 출범하였다.

그러나 1947년 5월 10일에 열린 대한의학협회 재창립 총회 때 이기령 등이 생화학계 대표로 참석한 것을 보면 학회가 공식적으로 창립되기 이전부터 의협 산하의 분과학회로 인정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대한생화학회는 학회 구성원의 연구범위가 확장됨에 따라서 1995년에 현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4년에는 영문 학술지 ≪대한생화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Biochemistry≫를 창간하였고, 1966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및 대한의학회에 회원학회로 등록하였다. 1975년에는 학회지를 영문전용으로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1995년에는 시대상을 반영하여 학회 명칭을 "대한생화학 · 분자생물학회"로 변경하였다. 1996년에는 학회지명을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EMM)로 변경하였다. 1997년에는 사단법인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8년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와 함께 동헌생화학상을 제정하였다. 2001년에는 ≪대한생화학 · 분자생물학회 50년사≫를 발간하였고, 학회지 EMM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및 한국학술진흥재단으로부터 우수국제학술지로 선정되었다. 2002년에는 학회지 EMM이 SCI에 등재되었다.

2010년에는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와 통합하여 "생화학분자생물학회"로 출범하였다. 2012년에는 학회지 EMM이 ELSEVIER SCOPUS JOURNAL AWARD를 수상하였다. 2016년에는 영국 생화학회와 MOU를 체결하고 유럽지회를 설립하였다. 2023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상을 수상하였다. 2025년에는 아시아 · 오세아니아 생화학분자생물학 연맹(FAOBMB)과 공동으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현황

학회지≪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을 발간하고 있는데, 다수의 외국 저명학자들이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Medicine≫ · ≪SCIE≫ · ≪BBCI≫ · ≪Biological Abstracts≫ 등에 인용되고 있다. 1994년 부터 ≪생화학분자생물학소식지≫를 발간하여 학회 활동 및 의학 연구의 최신동향을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자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동헌 생화학상, 일천분자의학상, 사석상, 청산상 우수연구자상 등을 제정하여 수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홈페이지(https://www.ksbmb.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