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기

목차
관련 정보
떠구지댕기
떠구지댕기
의생활
개념
땋은 머리 끝에 장식용으로 드리우는 헝겊.
목차
정의
땋은 머리 끝에 장식용으로 드리우는 헝겊.
내용

한자어로는 취음하여 ‘당지(唐只)’라 쓴다. 머리를 흩어지지 않게 묶기 위해서는 헝겊이나 끈이 필요하였을 것이며, 따라서 댕기는 여자의 수발(修髮)과 함께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북사≫ 열전에 백제의 처녀는 머리를 뒤로 땋아 늘어뜨리고, 부인은 두 갈래로 나누어 머리 위에 얹었다고 하고 있다. 신라에서는 부인들이 머리[髮]를 땋아 머리[頭]에 두르고 비단과 진주 등으로 장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고분벽화에서도 끈으로 장식한 모습이 있어,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이 모두 댕기를 사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고려도경≫ 부인조에 처녀는 홍색 나(羅)로 머리를 묶고, 남은 머리는 뒤로 내려뜨렸으며, 출가하면 머리를 틀어 나로 묶고 작은 비녀를 꽂았다고 하였으니, 이는 제비부리댕기와 쪽댕기를 연상시킨다. 고려 후기는 몽고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변발(辮髮)이 일반화되어 댕기는 필수품이 되었다.

조선시대도 처녀와 총각은 물론, 부인의 쪽머리나 얹은머리도 변발을 하게 됨에 따라, 댕기는 더욱 중요한 수식품(首飾品)의 구실을 하였다. 개화기 이후 단발머리와 서구식 리본이 들어오면서 댕기는 차차 사라지고, 요즈음 특수한 예복을 입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댕기는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하며, 신분이나 길흉사에 따라 색과 재료를 달리 사용하기도 하고, 가식된 문양에 따라 상징성을 가지기도 한다.

댕기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예장용(禮裝用)으로, ① 떠구지댕기 : 궁중의식에 비(妃)·빈(嬪)이 큰머리[巨頭味 : 떠구지머리]에 사용하였던 자주빛 댕기이다. ② 매개댕기 : 궁중의식 때 어여머리[於由味]에 더하여 떠구지를 할 때 연결부분에 사용하는 너비가 좁은 검은 댕기이다.

③ 도투락댕기 : 큰댕기 또는 주렴(朱簾)이라고도 한다. 예장하였을 때의 뒷댕기로서 검은자주색 비단류로 만든다. 보통 댕기보다 넓으며 길이는 치마길이보다 약간 짧고 두 갈래로 되어 있으며, 겉에는 금박을 찬란하게 하였다. 윗부분에는 석웅황(石雄黃)이나 옥판(玉板)을 달고, 아랫부분에도 석웅황·밀화(蜜花)·금패(錦貝)로 만든 매미 5마리를 달아 두 갈래진 댕기를 연결해주었다. 서북지방에는 이와 비슷한 것이 있어 고이댕기라고 하였다.

④ 드림댕기 : 혼례복에서는 뒷댕기인 도투락댕기와 짝을 이루는 앞댕기로, 다른 예복에서는 뒷댕기 없이 이 앞댕기인 드림댕기만을 하는데, 검은자주색에 금박을 하였으며, 갈라진 양끝에는 진주·산호주 등의 장식을 하였다.

일반용으로, ① 제비부리댕기 : 변발한 처녀나 총각이 하였는데, 처녀는 붉은색, 총각은 검은색이었다. 또, 총각은 포백(布帛)으로 하고 아무런 장식이 없는 것이었으나, 처녀는 비단으로 하여 때로는 금박을 하기도 하고, 댕기고에 옥판이나 옥나비 또는 칠보나비를 붙이기도 하였다.

② 도투락댕기 : 예장용의 도투락댕기와 같은 것을 어린이용으로 만든다. 뒷머리가 짧으므로 댕기 위에는 조그만 깃을 달아 뒤통수 귀밑머리 밑에서 바짝 달아주게 되어 있다. ③ 말뚝댕기 : 어린이용으로 도투락댕기와 비슷한 것인데, 도투락댕기의 시기를 지나 제비부리댕기를 드리기 전에 하였다.

④ 쪽댕기 : 쪽찔 때 사용하는 것으로, 머리를 땋아가다가 끝 부분에서 끼워 넣어 쪽이 곱게 틀어지게 하였다. 색은 젊은 사람은 홍색, 나이가 든 사람은 자주색, 과부는 검정색, 상제는 흰색이었으며, 8,90세 노인도 내외가 함께 생존하고 있으면 자주댕기를 하였다.

궁녀용으로, ① 네가닥댕기·두가닥댕기 : 나인(內人)들이 자주색의 무늬 있는 사(紗)로 만들어 새앙머리에 매었다. ② 팥잎댕기 : 팥잎처럼 가장자리가 말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궁중의 무수리와 세수간의 나인들이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북사(北史)』
『고려도경(高麗圖經)』
「조선조 후기 댕기에 관한 연구」(황옥현, 홍익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79)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