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의 하나로 새해가 되었을 때 친지가 서로 만나서 해가 바뀌는 인사를 주고받고, 이어서 생자(生子) · 득관(得官) · 치부(致富) 등 상대방이 잘 되기를 비는 말로 악담(惡談)과 반대가 된다. 상대가 반가워할 말을 들려주는 것이 원칙이다.
최남선(崔南善)은 ‘이제 그렇게 되라.’고 축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벌써 그렇게 되셨다니 고맙습니다.’라고 단정해서 경하하는 것이 덕담의 특색이라고 하였다.
이를테면, “금년에는 장가 드셨다지요.”, “금년에는 부자가 되셨다지요.”하는 식으로 축하를 해주는 것이다. 각 가정 사이에서는 서로 사람을 보내서 전갈로 덕담을 교환하기도 하고, 멀리 있는 사람들과는 서신으로 덕담을 주고받는다.
요즈음은 흔히 어른들에게는 “과세 안녕히 하셨습니까?”,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 하며, 연소한 사람들에게는 “새해에는 소원 성취하게.”, “새해에는 아들 낳기를 바라네.” 하는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위에 언급한 대로 “벌써…… 되셨다지요.”라고 표현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처럼 서로간의 소원을 축하해주는 세시인사에는 두 가지의 원시 심리적 근거가 있다.
첫째로 언령관념(言靈觀念)인데, 우리 선인들은 음성 내지 언어에 신비한 힘이 들어 있어서, ‘무엇이 어떻다.’ 하면 말 자체가 그대로 실현되어지는 영력(靈力)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으므로 덕담은 곧, 그러한 언령적 효과를 기대한 데서 생긴 세시풍속이다.
또 한가지는 점복관념에서 찾을 수 있다. 만사만물에 길흉의 예조(預兆)가 있다 하여 그것을 알려고 여러 가지 점복술이 생겼는데, 그 중의 하나가 ‘청참(聽讖)’이다.
새해 첫 새벽 거리에 나가서 방향도 없이 발닿는 대로 돌아다니다가 사람의 소리든 짐승의 소리든 물건의 소리이든 처음 들리는 그 소리로써 그 해의 신수를 점치는 것을 청참이라 하는데, 덕담은 일종의 청참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세수(歲首)에 처음 듣는 소리로 일년의 신수를 점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청참법(聽讖法)이 생겼고, 사람 대 사람이나 집안끼리 처음 교환하는 인사에 덕담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지금 관습에서는 그렇게 기정사실처럼 덕담을 주고받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