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절제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양계(兩界)지역에 파견되었던 외관직.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양계(兩界)지역에 파견되었던 외관직.
내용

1389년(공양왕 1)에 도순문사(都巡問使)가 개정된 것이다. 정원은 동북면(東北面)과 서북면(西北面)에 각 1인씩이고, 품질(品秩)은 정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재추(宰樞)로서 임명된 듯하다.

이전의 도순문사는 본래 군사지휘관의 성격을 가지는 외관이었지만 공민왕 후년부터 민사(民事)도 함께 관장하였으므로 그 후신인 도절제사 역시 군사·민사 모두를 관장하였다.

또한 1388년(창왕 1)에 남도(南道)의 안렴사(按廉使)가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로 승격되면서 경관(京官)으로서 구전(口傳)하던 것이 전임관(專任官)을 제수하는 것으로 바뀐 예에 따라 도절제사 역시 전임관으로 제수되었다.

1390년(공양왕 2)부터는 양계에도 도관찰출척사를 두고 도절제사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고려가 멸망하기 3개월 전인 1392년 4월에 전국의 도관찰출척사가 혁파됨과 동시에 도순문사로 환원되면서 소멸하였다. → 도순문사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양계(高麗兩界)의 지배조직(支配組織)」(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 일조각, 1971)
집필자
이익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