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동계선생속집
동계선생속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9책. 목판본. 1660년(현종 1)에 손자 기수(岐壽)에 의해 부록을 합한 본집 6권 5책이 처음으로 간행되고, 1852년(철종 3)에 후손 기필(夔弼) 등에 의해 속집 3책을 포함한 9권 8책이 복간되었다. 그 뒤 1817년(순조 17) 별도로 연보 1책이 목판본으로 간행되어 완성을 보게 되었다. 권두에 조경(趙絅)·허목(許穆)의 서문, 정홍경(鄭鴻慶)의 중간서(重刊序)가 있고, 속집 권두에 김흥진(金興振)의 서문, 권말에 권대긍(權大肯)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본집은 권1에 시 374수, 권2에 기 5편, 서(序) 11편, 발 5편, 문(文) 2편, 제문 2편, 전(傳) 2편, 서(書) 9편, 논 4편, 권3에 소차(疏箚)·계(啓) 30편, 행장 3편, 권4에 비명 4편, 묘갈 8편, 묘지 8편, 보유 1편, 부록 권1에 허목(許穆)과 조경이 쓴 저자의 행장과 시장(諡狀), 권2에 저자가 남원부사·경상감사 등을 제수받을 때 임금이 내린 교서, 그리고 죽은 뒤에 내린 치제문(致祭文)·만사 등이 실려 있다. 속집은 권1에 시·부(賦)·서(書)·소, 권2에 전(傳)·기·서(序)·묘갈·행장·제문, 권3에 부록이 실려 있다.

소차의 「갑인봉사(甲寅封事)」는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인륜 도리에 어긋났음을 지적하고, 그 가해자인 당시 강화부사 정항(鄭沆)을 참수(斬首)하라고 주장한 내용이다. 「독계(獨啓)」는 창덕궁에 기거하던 광해군이 요망한 말에 현혹되어 정릉궁(貞陵宮)으로 돌아가려 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올린 글이다.

「척화소(斥和疏)」는 정묘호란 때 올린 것이며, 「척호사소(斥胡使疏)」는 금사(金使) 용골대(龍骨大) 등이 올 때 이를 배척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기타의 소차는 대부분 사직(辭職)에 관한 것들이나 인조반정, 대북(大北)·소북(小北)간의 정권투쟁 등 당시 정치정세 등이 일부 지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특히 역사적인 측면에서 당시 권력 투쟁 및 당쟁, 호란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집필자
장순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