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리 사지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동남리 사지 와당
부여 동남리 사지 와당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이칭
이칭
부여동남리사지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동남리사지(東南里寺址)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기념물(1984년 07월 26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11-1번지 25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내용

1984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만6569㎡. 이 절터는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백제시대의 군수리사지(軍水里寺址)가 있고, 북쪽으로도 역시 백제시대의 절터인 정림사지(定林寺址)가 있어 이들 백제시대의 절터 가운데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8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절터의 규모가 부분적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사찰건물의 배치를 보면, 중문(中門)·금당(金堂)·강당(講堂)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고 회랑은 강당의 좌우에 마련된 건물에서 남쪽으로 뻗어 중문에 연결되었다.

각 건물 기단터[基壇址]의 규모를 보면, 금당의 경우 동서 100척(약 30m), 남북 70척(약 21m), 강당은 동서 174척(약 52m), 남북 70척(약 21m), 문은 동서 56척(약 17m), 남북 40척(약 12m), 회랑은 남북길이 220척(약 67m), 폭 23척(약 7m)의 규모로 밝혀졌다.

강당의 좌우에 있는 건물터는 종루(鐘樓)·경루(經樓)의 터로 여겨지고 있다. 이 절터에서는 탑이 있었던 흔적이 없으며 또 금당과 중문 사이, 금당과 강당 사이가 같은 간격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발굴조사 당시 출토된 중요유물로서는 납석제불상파편(蠟石製佛像破片) 2점, 금동불상파편(金銅佛像破片) 1점, 기타 여러 문양 형태의 막새기와편·청동편 등이 있는데, 이 중 납석제불상편은 약 6㎝에 지나지 않으나 일본 호류사(法隆寺) 몽전(夢殿)에 있는 구세관음상(救世觀音像)과 비슷한 양식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또, 출토된 막새기와류는 군수리사지에서 출토된 것과 같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 절들은 같은 시기인 백제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백제연구』 2(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1)
『고적조사보고』(조선고적연구회, 1975)
『부여군지』(부여군, 1987)
「백제사찰건축에 관한 연구」(장경호, 홍익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