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왕편」은 고려 후기에 이규보가 지은 한문 서사시이다. 오언 282구의 장편 인물 서사시로 약 4,000자에 이른다. 『동국이상국집』 제3권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편」은 동명왕 탄생 이전의 계보를 밝힌 서장, 출생에서 건국에 이르는 본장, 후계자인 유리왕의 경력과 작가의 느낌을 붙인 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명왕편」은 중화 중심의 역사의식에서 탈피해 위대한 고구려를 계승하고 있다는 고려인의 자부심과 우리의 민족적 우월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규보의 국가관과 민족에 대한 자부심이 잘 나타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한문서사시. 오언 장편 282구의 장편 인물서사시로 약 4,000자에 이른다. 「동명왕편」은 그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 제3권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편」은 동명왕 탄생 이전의 계보를 밝힌 서장(序章)과 출생에서 건국에 이르는 본장(本章), 그리고 후계자인 유리왕의 경력과 작가의 느낌을 붙인 종장(終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이규보는 “처음 동명왕의 설화를 귀신(鬼 귀)과 환상(幻 환)으로 여겼다. 그러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귀신이 아니라 신(神)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을 시로 쓰고 세상에 펴서 우리 나라가 원래 성인지도(聖人之都 ; 성인 세운 나라)임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저작동기를 적고 있다.
「동명왕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동의 해모수(解慕漱)는 천제(天帝)의 아들이다. 고니를 탄 100여 인의 종자(從者)를 거느리고 하늘로부터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채색 구름 속에 떠서 내려 왔다.
성 북쪽에 청하(靑河)가 있고 거기에 하백(河伯)의 세 딸 유화(柳花) · 훤화(萱花) · 위화(葦花)가 있었다. 해모수가 사냥을 갔다가 이들 세 미녀를 만나서 그 중에 맏딸인 유화와 혼인하도록 해달라고 하백에게 간청하였다.
하백은 해모수의 신통력을 시험한 뒤에 그에게 신변(神變)이 있음을 알고 술을 권하였다. 하백은 해모수가 술이 취하자 유화와 함께 가죽가마에 넣어서 하늘로 보내려 하였다.
그런데 술이 깬 해모수는 놀라서 유화의 비녀로 가죽가마를 찢고 혼자 하늘로 올라가 돌아오지 않았다. 하백은 유화를 꾸짖으며 태백산 물 속에 버렸다. 유화는 고기잡이에게 발견되어 북부여의 금와왕(金蛙王)에 의하여 구출되었다.
유화는 뒤에 해모수와 관계하여 주몽(朱蒙)을 낳았다. 주몽은 처음에는 되 크기만한 알이었다. 금와왕은 상서롭지 않은 일이라 하여 마굿간에 버렸다. 말들이 이것을 짓밟지 않아서 깊은 산 속에 버렸더니 짐승들이 이것을 보호하였다.
알에서 나온 주몽은 골격과 생김새가 영특하여 자라면서 재주가 뛰어났다. 뒷날에 부여를 떠나 남으로 가서 비류국(沸流國)의 송양왕(宋讓王)의 항복을 받고 나라를 세웠다.
이것이 고구려의 건국이다. 그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이다. 종장에는 동명성왕의 아들 유리(類利)가 부왕(父王) 동명왕을 찾아서 왕위를 계승한다.
「동명왕편」은 당시 중화중심(中華中心)의 역사의식에서 탈피하여 『구삼국사(舊三國史)』에서 소재를 취하여 우리의 민족적 우월성 및 고려가 위대한 고구려를 계승하고 있다는 고려인의 자부심을 천추만대에 전하겠다는 의도에서 쓰인 것이다. 이규보의 국가관과 민족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외적에 대한 항거정신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동명왕편」은 북방대륙에서 한반도의 남단에 이르기까지 넓은 강토와 천상 · 해상 · 삼계를 무대로 하여 영웅호걸들의 상호 갈등을 통하여 사건이 전개되고 발전되고 힘과 힘, 꾀와 꾀, 신통력의 대결을 통하여 부족사회적인 힘을 집결하여 고대국가의 건설이라는 역사적인 대업을 완수하는 사실이 작품을 통하여 반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