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신군 ()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자강도(慈江道) 남부 청천강(淸川江) 상류에 있는 군(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의 자강도(慈江道) 남부 청천강(淸川江) 상류에 있는 군(郡).
개설

남동쪽은 평안남도(平安南道) 대흥군(大興郡), 서쪽과 남서쪽은 희천시(希天施) · 송원군(松源郡), 남쪽은 평안남도(平安南道) 영원군(寧遠郡), 북쪽은 용림군(龍林郡) · 전천군(前川郡)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14′∼126°50′, 북위 40°04′∼40°27′에 위치하며, 면적은 1,205㎢, 인구는 3만 40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1952년에 자강도 희천군 신풍면 · 동창면 · 장동면 전체와 다른 동 · 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한 군이다. 희천군의 동부 지역을 분리해 신설한 군이라는 의미에서 동신군으로 명명하였다.

자연환경

군의 북쪽에는 적유령산맥(狄踰嶺山脈), 남쪽에 묘향산맥(妙香山脈)이 뻗어 있어 대체로 험한 산간지대를 이루고 있다. 주위에 청학대(1,876m) · 밀풀덕산(1,577m) · 웅어수산(2,020m) · 소백산(2,015m) 등이 솟아 있다.

군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청천강에 직동천 · 용평천 · 백산천 · 아롱천 등 여러 개의 지류가 합류한다. 주요 기반암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며, 토양은 산림갈색토양이 대부분이다. 기후는 도 내 다른 군들에 비하여 비교적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다.

연평균기온 8℃, 1월 평균기온 -9.5℃, 8월 평균기온 23℃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00㎜이다. 첫서리는 10월 초순, 마감서리는 4월 말경에 내린다.

산림은 군 면적의 87%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소나무 · 참나무 · 피나무 · 자작나무 · 단풍나무 · 이깔나무 · 잣나무 등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평안북도에 속해 있었으나, 1949년 1월에 신설된 자강도의 관할 아래 놓였고, 1952년 12월경 희천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희천군의 동쪽에 새로 생겼다는 의미에서 동신군으로 명명하였다. 1982년 10월 아농성리(我弄城里)를 약수리로 개칭하고, 청운리를 새로 만들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동신읍 1읍, 경흥리, 금석리, 동창리, 동흥리, 용평리, 문화리, 백산리, 생리, 서양리, 석포리, 수전리, 약수리, 온천리, 원흥리 등 14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동신읍이다.

현황

기본 산업은 임업이며, 동신임산사업소가 있다. 동신군에서는 산림 축적과 지형조건에 맞추어 순환구역을 정하여 계획적으로 통나무를 생산하고 있다. 주요 임산업체로는 동신갱목사업소가 있다.

농경지 면적은 군 전체면적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는데, 곡물은 옥수수가 주종으로 군 전체 곡물생산량의 80%를 차지한다. 또한 양잠업이 발달했는데, 뽕밭면적이 전체 농경지면적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교통망으로는 희천 · 용림 등지로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온천과 약수가 많은 곳으로 원흥온천(元興溫泉) · 여침약수(如針藥水) · 가지목약수 등이 있으며, 금석리갑현령(甲峴嶺) 일대에는 금석동물보호구(金石動物保護區)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동신남자고등중학교와 동신여자고등중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朝鮮鄕土大百科)』-자강도(慈江道)(평화문제연구소, 2004)
『북한(北韓)의 산업(産業)』(대한무역진흥공사, 1995)
『북한지지요람(北韓地誌要覽)』(통일원, 1993)
『인물(人物)의 고향(故鄕)』-북한편(北韓編)-(중앙일보사,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