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노래

목차
관련 정보
예천 통명농요
예천 통명농요
국악
개념
들에서 일을 하며 부르는 소리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들에서 일을 하며 부르는 소리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내용

특히 논이 많은 호남평야나 전라도지방에서 통칭되는 말이다. 이제까지 채집된 것으로는 전라도 일대의 <진도들노래> · <옥구들노래> · <함평들노래> · <나주들노래> 등과 경상도 일대의 <예천 통명농요> · <고성농요> 등이 있다.

농사과정에 따라서 모뜨(찌)는소리 · 자진모뜨는소리 · 못소리(모심기소리) · 자진못소리 · 논매기소리(절로소리 혹은 절사소리) · 중절로소리 · 자진절로소리 · 질꼬냉이(혹은 장원질소리) 등으로 불리고 있다.

봄철이 되면 논을 갈고 못자리에 모가 자라면 모를 뜨면서(찌면서) 초성(목청)이 좋은 선소리꾼이 길고 구성진 가락을 뽑으면 여러 사람이 제창(齊唱)으로 후렴구를 받아넘긴다. 모를 다 찐 뒤 논에 흩어 놓으면 수십 명이 꽹과리 · 장구 · 북 · 징 등 풍물(혹은 풍장 · 매구)을 치면서 나와 일렬로 서서 모를 심고, 북잡이는 왔다갔다 하면서 북을 치면서 소리를 하는데, 지방에 따라서는 ‘못방구소리’라고도 한다.

못방구가 중모리장단을 치는 가운데 일꾼들은 모심기소리를 부르며 모를 심는다. 이 모심기소리를 지방에 따라서는 ‘상사소리’ 또는 ‘사대소리’라고도 한다. 그 소리가 끝나면 ‘이후-후후후-’ 혹은 ‘에후 고로롱’ 하며 입타령 비슷한 소리를 외친다.

모심기가 끝나고 벼가 자라면 벼와 함께 자란 잡초를 뽑아내는 김매기(논매기)가 시작되며 초벌(아시) · 두벌(이듬) · 세벌(만두레) 등으로 나누어 김을 매게 된다.

농민들은 ‘두레’라고 하는 공동작업형태를 이루어 집단 영농을 하는데, 이 두레에는 꽹과리 · 징 · 장구 · 북 등의 사물(농악기)을 장만하고, 농기(農旗)를 논두렁에 꽂고 김을 매게 된다.

이 김매기소리는 경기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등지에서는 방아타령으로, 전라남도 일대에서는 절로소리 · 절사소리 등으로 부르는데, 그 사설이나 가락이 각각 다르다.

전라남도지방에서는 논매기가 다 끝나면 그 해 열심히 농사를 잘 지은 머슴을 뽑아 장원상(壯元賞)으로 소를 한 필 주고, 그 소 위에 머슴을 태운 뒤 풍장을 치면서 마을로 돌아오면서 질꾸내기(길군악)를 부른다. →농요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예술』(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민요」(권오성, 『월간문화재』 124, 월간문화재사, 1982.1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